소개글
특별활동의 편성과 운영, 특별활동의 중점지도내용, 특별활동의 자치활동과 적응활동, 특별활동의 계발활동과 봉사활동, 특별활동의 행사활동, 특별활동의 운영과 평가방법, 특별활동의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특별활동의 의미와 특성
Ⅲ. 특별활동의 편성과 운영
1. 학년의 전체교사가 같이 참여하여 특별활동 교육과정을 편성 한다
2. 특별활동 배당 시간에 융통성 있는 시간(16일)을 편성하여야 한다
3.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에서 학년별로 적정하게 편성되어야 한다
4. 계발활동의 부서 편성방법을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5. 영역별 지도시간의 이행이 되어야 한다
6. 영역별 지도의 어려움의 원인을 제거하여야 한다
Ⅳ. 특별활동의 중점지도내용
Ⅴ. 특별활동의 자치활동
1. 목표
2. 내용
3. 지도
1) 협의 활동
2) 역할 분담 활동
3) 민주 시민 활동
Ⅵ. 특별활동의 적응활동
1. 기본 생활 습관 형성 활동
2. 친교 활동
3. 상담 활동
4. 진로 활동
5. 정체성 확립 활동
Ⅶ. 특별활동의 계발활동
1. 지도 원리
2. 운영 모형
Ⅷ. 특별활동의 봉사활동
1. 목적
2. 필요성
1) 개인적 필요성
2) 사회적 필요성
3. 방침
4. 활동 내용
5. 봉사 활동 장소
Ⅸ. 특별활동의 행사활동
1. 지도 원리
2. 운영 모형
Ⅹ. 특별활동의 운영과 평가방법
1. 계획적 운영
2. 평가
1) 영역별 평가
2) 학교와 지역 사회의 실정, 교육 목표에 적합한 평가
3) 평가의 결과 종합
4) 학생 각자의 성취도, 변화 진단하는 절대 평가
5) 학생 개개인의 발달, 변화, 성취 평가
6) 특별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실시
Ⅺ. 특별활동의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 중심 교육 과정인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특별 활동 교육 과정의 개정은 학교 교육에서 교과 활동 못지않게 중요하다. 따라서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특별 활동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창의력, 사고력,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향상뿐만 아니라 흥미, 적성, 특기 신장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 과정의 체제에서부터 목표, 영역, 내용, 방법, 평가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근본적이고 대폭적인 개선을 하였다.
첫째, 특별 활동의 본질에 접근하는 영역의 특성화이다. 제6차 교육 과정에서는 활동 집단을 기준으로 하는 학급 활동, 클럽 활동, 학교 활동, 단체 활동의 4영역으로 구분된다. 이는 단순히 활동 집단 단위 중심이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특별 활동의 목표와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선정ㆍ조직하는데 필요한 준거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운영의 실제에서도 방향과 방법 등을 안내하는 지침의 성격이 약하여 애매하고 형식적인 영역 설정이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번에는 특별 활동의 본질적인 성격과 목표, 특성, 내용이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개정의 중점으로 하였다. 예컨대, 영역 그 자체만 보아도 특별 활동 교육 과정 편성ㆍ운영의 구체적 방향과 목표, 활동 내용과 방법 등을 강하게 암시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종래의 집단 중심의 4개영역(학교 급별 영역 구분)을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특별 활동의 본질에 보다 접근하는 하위 요소별 특성 중심의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의 5개영역(초ㆍ중ㆍ고 공통의 영역 구분)으로 대폭 개편하였다.
참고 자료
◎ 김기태, 특별활동 실제, 서울 : 배영사, 1987
◎ 김광민, 교육과정에서의 특별활동의 위치,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1호, 1998
◎ 류광찬·홍광식, 특별활동 교육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 서성옥, 특별활동의 지도, 서울 : 새한신문사, 1985
◎ 오병인, 특별활동 운영, 초등교감 연수교재, 전라남도교육연수원, 1999
◎ 전라남도광양교육청, 제7차교육과정 특별활동 편성·운영 예시안, 장학자료 3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