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Philia`나 키케로의 `Amicitia`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고대인에 비하여 현대인이 우정을 부차적인 요소로 여긴다는 것은 마음대로 뭐라고 할 수가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우정이라는 것을 굉장히 고상하고 어렵게 정의하려는 관점에서 벗어나 경험과 눈에 보이는 것만을 중시하여 생각해 보았을 때, 어린 아이들에게 에로스적 사랑이나 그 밖의 다양한 사회적인 가치관보다 비교적 일찍발현되는 소중한 가치가 `친구`라고 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을 비추어 보았을 때, 처음에 이러한 고대인과 현대인에 대한 비교는 뭔가 오류가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으며 또 이해도 가지 않는 부분이었다. 그 근거로 시대의 경과에서 우정이 받았던 취급이 그리 긍정적이지 못했다는 것과 사회적인 한계를 들고 있기는 하지만, 바로 그 다음에 `우정이 고대와 중세에 칭송을 받아 오늘날 우리의 시대에까지 빛을 발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데` 라는 내용으로 글을이어나갈 때, 바로 위의 글과전제가 모순된다는 느낌이 확연하여 처음 글을 접했을 때 C. S. Lewis에게 앞으로 내가 읽게될 이 글의 내용에 대한신뢰감이 저하되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현대에 비교적 퇴색된 원인으로써 `그것을 경험한 사람이 거의 없어그 가치를 인정하지 못함`이라고 들고 있는데, 이것은 현대 사회가 고대사회와 다르다는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또 냉정하지 못한 시선으로 고대의 것을 너무 미화시켜서 보았기 때문에,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는 설득력이 부족했던 것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우정의 관계는 연인의 관계에 비해 그 구성원의 수(數)적인 한계에 있어서 자유로움을 이야기하는데, 그 구성원이 되는 것에 qualified(`자격이 있는`이라고 번역하였을 경우)라는 말을 쓰는 것에, 과연 친구가 되는 것에 `자격`이라는 말을 적용한다는 것은 우정이라고 하는 것을 너무 조건을 요구하며, 또 목적론적으로 필요이상으로 차가운 이미지를 받는 듯했지만, 저 단어가 단지 내가 받은 차가운 이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