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대민족운동의 흐름
한말 민족운동은 내부적으로는 중세적 봉건제의 탈피와 외부적으로는 외세의 침략에 대한 대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시작되었다. 그 흐름은 운동의 주체와 내용에 따라 대략 3가지로 분류가 된다. 첫째, 개방적 지식인 계층은 실학의 정신을 이어받아 개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는데, 오경석, 유홍기, 박규수가 그 시초였다. 실학사상 자체가 현실 변혁의 구체적인 시무책의 성격이 전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격이 신진 지식인들의 새로운 사회 국가관을 설정함으로써 자연히 그 발전적 모형을 서구에서 수용하였다. 초기의 실학인 경세치용이나 이용후생의 학파의 내용보다는 실사구시의 실학에 근거해, 다소 민중지향의 경향은 약했다. 즉 개화사상은 사회변혁을 통해서 세계사적 흐름에 동참하려는 근대화적 열망이 그 밑바탕에 깔려있었지만, 왕조 체계의 테두리를 벗어나지는 못하여 자유민주주의와는 거리가 있었다. 개혁운동의 주 세력기반을 민중에서 찾지 못하고, 일부 소수의 개방적 부르주아에 의해 추진되었다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공업의 발전을 주장하는 등 부국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자본주의의 경제이론과는 거리가 있었다.
참고자료
· 1.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사강의", 한올아카데미, 1989년 , 8,9,10장
· 2.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 역사비평사, 1995, 제4편 근대사회
· 3. 신용하 외, "한국사, 38 개화와 수구의 갈등", 국사편찬위원회, 1999, 1장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 사상의 발전
· 4. 한국역사편찬회, "圖說 韓國의 歷史, (5) 近代史", 1980, 삼일운동
· 5. http://mahan.wonkwang.ac.kr/nonmun/99/9318.htm "위정척사파에 대한 일고찰"
· 6. http://mahan.wonkwang.ac.kr/nonmun/95305029.hwp "한국근대민족운동고 민족주의"
· 7. 조광, "실학과 개화사상의 관계에 대한 재검토", 창작과비평사 , "조선후기사 연구에 대한 현황과 과제"에 수록된 글, 501-533면
· 8.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 (3)", 도서출판 풀빛 , 199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