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양명학 양지론][양명학 심즉리설][양명학 知行(지행)과 격물치지][동양정신사]양명학 의의, 양명학 시대적 배경, 양명학 양지론, 양명학의 심즉리설, 양명학의 知行(지행)과 격물치지, 양명학과 동양정신사
- 최초 등록일
- 2011.03.31
- 최종 저작일
- 2011.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양명학의 의의, 양명학의 시대적 배경, 양명학의 양지론, 양명학의 심즉리설, 양명학의 知行(지행)과 격물치지, 양명학과 동양정신사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양명학의 의의
Ⅲ. 양명학의 시대적 배경
Ⅳ. 양명학의 양지론
Ⅴ. 양명학의 심즉리설
Ⅵ. 양명학의 知行(지행)과 격물치지
Ⅶ. 양명학과 동양정신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조선의 개창은 단지 정치권력의 교체뿐만 아니라, 불교에서 성리학으로 교체되는 사상적인 일대 전환을 의미한다. 결국 성리학은 조선사회의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그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성리학의 근본에는 강하게 이단을 배척하는 이론이 내재되어 있다. 즉 벽이단사상이 그것이다.
이단을 배척하는 사상은 정학인 공자, 맹자, 정자, 주자의 도통에 반한 이단 즉 사학 불교·도교·육왕학·서학을 배척하는 말이 된다.
당대에 이르러서는 불교를 이단으로 배척하였고, 그 정신은 송대의 이정을 거쳐 주자에게 계승되어 성리학을 통하여 철학적으로 더욱 심화되고 이론화 되었다. 벽이단사상은 곧 유학(성리학) 이외의 이단과 사설을 배척함으로써 정통 유학의 순수성과 정통성을 보존하려는 논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외적으로 이단에 대립하는 자세를 갖추는 것은 물론 내적으로는 정도를 보존하려는 굳은 의지가 아울러 병존하게 된다. 조선시대에 있어 이단에 대한 배척은 삼봉 정도전과 양촌 권근에 의해 시원하여 이후 사림에게 의리정신으로 용해되어 의리와 명분에 바탕을 둔 사림정신으로 계승되었다. 몇 차례에 걸친 사화는 학풍을 크게 변하게 하여 이론과 사색의 방면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고상한 철리연구를 주안으로 삼게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 학문은 붕당정치의 사상적 토대가 되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 김길락·김덕균·김세정·박연수·송하경·정덕희 외, 양명학 연구총서, 왕양명 철학연구
◎ 김재구(1996), 왕양명의 양지 철학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연수(1999), 양명학의 이해 - 양명학과 한국양명학, 집문당
◎ 시마다 겐지(1992),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 유명종(2002), 왕양명과 양명학, 청계
◎ 한국양명학히(2001), 왕양명 철학연구, 청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