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위기][은행위기의 이론][은행위기의 원인][은행위기의 변수][은행위기의 시사점][시카고 은행위기 사례]은행위기의 이론, 은행위기의 원인, 은행위기의 변수, 은행위기의 시사점, 시카고 은행위기의 사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3.27
- 최종 저작일
- 2011.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은행위기의 이론, 은행위기의 원인, 은행위기의 변수, 은행위기의 시사점, 시카고 은행위기의 사례 분석
목차
Ⅰ. 은행위기의 이론
Ⅱ. 은행위기의 원인
Ⅲ. 은행위기의 변수
1. 은행경영지표
2. 실물부문
3. 금융부문
4. 국제부문
Ⅳ. 은행위기의 시사점
Ⅴ. 시카고 은행위기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은행위기의 이론
■금융의 취약성(fragility)에 대한 고전적인 이론은 1933년 Irving Fisher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는데, 금융의 불안정성이 거시경제적인 순환, 특히 부채-디플레이션(debt deflation)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설명한다.
호황기에 자산가격이 정상가격 이상으로 상승하는 거품이 생기게 되는데 은행들은 이러한 투기적 투자수요에 대해 대출을 확대하게 되고 민간부문의 통화유통속도도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서는 균형회복을 위해 자산가격이 폭락하게 되고 경제주체들이 부채를 상환할 수 없게 되어 보유자산을 급매하면서 자산가격이 다시 하락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며 이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불안이 확산되고 기업의 도산과 실업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금융 취약성의 가장 큰 원인은 경기호황기동안 자산가격 버블에 의해 경제의 펀더멘탈이 취약해졌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1973~1974년 영국의 중소형 은행들의 대량 도산(secondary banking crisis)과 1980년대 미국의 저축대부조합(Savings & Loans Association) 사태 등을 들 수 있다.
■80년대 들어서는 불완전정보이론을 은행의 정보수집기능과 연결시키면서 금융불안정을 설명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금융거래자간의 정보비대칭 현상은 도덕적 해이(moral hazard)와 역선택(adverse selection)의 유인을 제공하고 결국 금융부문의 취약성을 유발하게 된다.
도덕적 해이의 예를 들면, 대출시장에서 차입자는 자신이 투자하려는 투자안의 위험과 수익성에 관해 은행보다 많은 정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차입자는 은행이 기대하는 수준보다 높은 위험을 지닌 고수익 투자프로젝트에 투자함으로써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려는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게 된다.
참고 자료
김동원 : 한국위기의 원인과 금융구조 분석, 경제학연구, 한국경제학회, 제46집 제4호, 1998
백웅기·정지만 : 은행위기의 원인과 예측가능성: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1999
박원암 : 한국 외환위기의 조기경보모형, 국제경제연구, 제7권 제1호, 2001
이영섭·이종욱 : 한국의 금융위기, 그 원인과 대책
정영규 : 동남아시아 경제의 이해
한국은행 통화분석팀 : 외환위기 이후 신용경색 현상에 대한 분석,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