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저항주의 문학의 특징과 저항주의 작품의 대표적인 작가와 그들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개관과 해석을 담고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저항문학의 개념
Ⅲ. 저항주의 작가와 작품
Ⅳ. 마무리
본문내용
어둠 속에서 피운 꽃 저항주의 (저항시)
Ⅰ. 문제제기
우리나라에서 일제 강점기 시대의 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그 양과 성취는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문학의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김소월, 윤동주, 정지용 등의 작가들도 이 시기에 배출되었다. 하지만 교육과정에 있어서는 일제강점기하의 문학에 대해서 작가위주로 살펴보거나 단순히 일제에 대한 ‘저항시’ 혹은 ‘저항소설’이라고만 언급하고 있고, ‘저항’의 의미를 작가의 활동에 비추어 볼 것인지 아니면 시대적 상황으로 볼 것인지 난해하기 때문에 저항문학에 대한 그 명확한 기준을 잡기는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도 윤동주의 시를 저항시로 볼 것인가 아니가, 또는 이육사의 <광야>, <청포도> 등의 시를 저항시가 아닌 순수 낭만시로 보아야 할 것인가 이유식, 「광야의 목소리」,중앙어문학회 어문론집, 1997
하는 논의가 계속 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저항문학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저항문학에 해당하는 작가의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 맞는 저항주의의 범주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학교교육에 있어서 저항문학을 학생들에게 어떠한 개념으로 가르쳐야 할 것인지도 언급되어져야 할 것이다.
..
..
참고 자료
김용직, 「한국 현대시인 연구上」,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김이상, 「심훈 시의 연구」, 『어문학교육 제7집』, 한국어문교육학회, 1984
김창원, 「이육사의 청포도 검토」, 『한국언어문학 제29집』, 한국언어문학회, 1991
김진희, 「윤동주의 저항시 이해와 교육방안 연구」, 『한국시학연구 제18호』, 한국시학회, 2007
신용협, 「윤동주의 시와 인간」, 『국어국문학 제91권』, 국어국문학회, 1984
이유식, 「광야의 목소리」, 중앙어문학회 어문론집, 1997
이 탄, 「한국의 대표시인론」, 문학아카데미, 1994
이숭원, 「한국 현대 시인론」개문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