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풍수지리학)의 논리, 풍수(풍수지리학)와 풍수사, 풍수(풍수지리학)와 패철, 풍수(풍수지리학)와 신앙, 풍수(풍수지리학) 관련 묘지훼손 사례와 제언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3.25
- 최종 저작일
- 2011.03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소개글
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풍수지리학)의 논리, 풍수(풍수지리학)와 풍수사, 풍수(풍수지리학)와 패철, 풍수(풍수지리학)와 신앙, 풍수(풍수지리학) 관련 묘지훼손 사례와 제언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Ⅲ.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1. 음택
2. 양묘
3. 용
4. 맥절
5. 혈
6. 사
7. 국
8. 내용
9. 조산종산
10. 주산 후산(진산)
11. 입수
12. 두뇌
13. 성, 사성
14. 청룡, 백호
15. 명당
16. 득, 파(수구)
17. 지, 현
18. 미사
19. 안산
20. 조산
21. 좌향
Ⅳ. 풍수(풍수지리학)의 논리
1. 음양오행법
2. 간룡법
3. 장풍법
4. 득수법
5. 정혈법
6. 좌향론
7. 형국론
Ⅴ. 풍수(풍수지리학)와 풍수사
Ⅵ. 풍수(풍수지리학)와 패철
1. 패철의 유래
2. 패철사용법
1) 황천수 측정
2) 팔요풍 측정
3) 오행 년운 산정
4) 이십사방위
5) 이십사방 배합도
Ⅶ. 풍수(풍수지리학)와 신앙
1. 풍수
2. 제사
2. 무속
Ⅷ. 풍수(풍수지리학) 관련 묘지훼손 사례
Ⅸ.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Ⅰ. 서론
풍수학의 본질은 자연이 가진 왕성한 생명력에 감응 받음으로써 인생의 건강과 행복을 꾀하는데 있다. 박시익 명당건축연구소 소장 겸 영남대 환경대학원 겸임교수는 "푸우 발복, 가능한 일이다"라는 발제를 했다. "사람은 지면에서 나오는 기운을 호흡하며 살아가고, 지구는 커다란 자석과 유사하다"면서, "지자기가 안정된 곳은 사람의 건강에 좋고 반면 지자기의 변화가 불규칙한 곳은 사람의 건강에 좋지 못하다"고 설명했다. "명당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 땅을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여 해석한다."면서, "땅의 기운은 앞면과 뒷면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자연지리학으로 보면 땅의 앞면은 완만한 경사면이며 땅의 뒷면은 단층면으로 구성된 급경사면을 말한다. 땅의 앞면과 뒷면에 대한 개념은 사람이나 나뭇잎 등의 생명체에도 비유된다. 나뭇잎의 앞면과 뒷면의 기운이 서로 다른 것과 같다"고 말했다. 대기의 압력도 풍수와 관련이 있다며, 고층과 저층 아파트를 비교해 설명했다. 구조는 같아도 기압이 다른데, 지상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은 떨어진다는 것. 아파트 기압 차이는 장기간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건강상 차이를 유발하는데, 대표적으로 고층 아파트의 산모가 저층 아파트의 산모보다 출산 시 문제를 많이 일으킨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는 것이다.
금계를 발견했는데 들꿩의 일종인 금계는 부와 권력의 상징이라고 한다. 그때는 몰랐는데 당선이 되고 나니까 유명해 졌고 이런 일로 하여 생가 터의 돌과 흙을 가져간다고 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나오기 전 까지는 이 곳이 풍수지리학적으로 명당이라는 것도 없었고 지관 및 전문가들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고 마을 주민이 말을 했다. 이것은 예전부터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있는 풍수사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원래 풍수적으로 관심을 가지지 못하던 지역이 그 지역에 유명한 사람이 출생되면서 그 지역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지금 21세기에 과학문명의 발달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학문으로 인정받으면서, 대학에서 가르치기까지 한다. 어떤 이는 청와대를 옮겨야 한다면서, 그 이유로 `풍수지리`를 들고 있다. 풍수학은 수천 년을 내려온 우리의 전통문화이다. 미신적으로 내려오는 풍수가 아니라 이론이 체계화된 풍수로의 발전이 있어야 하겠고 그간풍수가 보여 왔던 신비적인 측면을 뒤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기풍수와 세련된 이기풍수를 접목시켜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광언(2001), 풍수지리(집과 마을), 대원사
강길부(1983), 풍수지리설의 현대적 의미, 정신문화, 서울 : 한국정신 문화연구원
손정희(1992), 한국풍수설화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임덕순(1999),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한국문화역사지리회
최길성, 조선의 풍수, 민음사
최영주 저(1994), 신 한국풍수, 동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