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부진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수준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정신지체아언어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창의적글쓰기와 놀이게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문학교육자료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3.18
- 최종 저작일
- 2011.03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소개글
국어과 부진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수준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정신지체아언어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창의적글쓰기와 놀이게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문학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국어과 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대표 작품의 선정
2. 비평문의 작성
3. 도해 자료 만들기
4. 물음과 답안 만들기
Ⅲ. 국어과 부진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자료 제작의 동기
2. 자료 제작의 목적
3. 자료 개발의 특성
1) 개인차를 파악한 자료
2)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자료
3) 성취감, 성공감을 주는 자료
4) 반복 원리를 기초로 한 자료
4. 자료의 효과
Ⅳ. 국어과 수준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자료 제작의 필요성
2. 자료 제작의 목적
3. 자료의 교육적 효과
4. 일반화 방안
Ⅴ. 국어과 정신지체아언어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자료의 개요
2. 자료의 목적
3. 자료의 내용
4. 결과
Ⅵ. 국어과 창의적글쓰기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필요성 및 목적
2. 자료의 목적
3. 활용 및 효과
1) 실천 과제 하나 : 알쏭 달쏭 수수께끼방
2) 실천 과제 둘 : 재미 솔솔 신문 나라
3) 실천 과제 셋 : 반짝 반짝 아이디어 상자
4) 실천 과제 넷 : 꼬불 꼬불 마음의 지도
Ⅶ. 국어과 놀이게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필요성
2. 내용
1) 회전판 게임
2) 빨리 찍어 게임
3) 주사위 게임
4) 추측 게임
5) 스피드 게임
6) 집중력 게임
7) 빙고 게임
3. 효과
Ⅷ. 국어과 문학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1. 자료 제작의 필요성
2. 자료 제작의 목적
3. 자료의 특징
1) 온라인 학습방(Web 기반) 학습 자료
2) 파일 자료
3) 프리젠테이션 자료
4. 효과
1) 학습 효과 면에서
2) 교수 효과 면에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우리가 맞고 있는 사회는 상품생산이 중심가치로 여겨지던 산업사회만이 아니라 정보의 창출 및 획득을 제일 가치로 여기는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이며 Software(교육제도와 시설), Softpower(교육과정 혁신), Humanware(교사의 전문성 제고)의 시대이므로 모든 교육종사자들은 창조력, 상상력, 직관력, 감성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패러다임 창출에 모든 지혜를 쏟아야 할 때이다. 따라서 교사들은 예지에 찬 학습자들이 학교생활에서 자기의 재능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꿈을 심고, 키우고, 가꾸고,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환경과 학습활동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학습을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길러주고, 학습된 기본 개념이 일상생활에서 적용․응용되었을 때 어떤 문제 상황에서도 어린이들은 창조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인간의 언어 사용을 다루는 국어 교과는 도구교과로서 더욱 중시해야 한다. 그것은 국어교육이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기초능력을 넘어서 아동들로 하여금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고, 언어를 통해 사고를 이해하는 고등정신 기능을 신장시켜 주기 때문이다. 언어와 사고 사이를 연결짓는 기능은 낱자와 단어, 또는 하나의 문장수준이 아닌 담화수준의 기능을 뜻한다. 따라서 국어교과가 도구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은 국어교과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언어 기능이 지식 자체가 아닌 지식의 활용 기능이며, 지식을 활용하는 기능은 범교과적으로 모든 교과의 학습활동에서 요구되는 지적 기능이기 때문에 더더욱 학교현장에서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이에 종전의 교사중심의 교수-학습을 벗어나 아동중심의 학습활동을 실천하는 한편, 정보화 물결로 잘못된 언어표현을 바로 잡고 창조적이며 올바른 언어표현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아동들의 흥미와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자료를 투입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교수 자료를 구안 ․적용함으로써 즐겁고 효과적인 언어생활을 하게 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 교육부(1992), 정신지체학교 초등부(교육가능) 언어 교사용 지도서, 대구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김대행 외(1997), 21세기 국어과 교육의 지향과 수준별 교육과정,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개발원
○ 김창원(1993), 문학 교육 과정 설계의 절차와 윈리, 국어 교육,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 박성익(1986), 학습부진아 교육,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 박영목외(1997),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탐구, 서울 : 교학사
○ 전라남도교육연구원(1997), 게임·놀이 모음집, 광주 : 광신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