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모형][교수학습]개념획득교수학습모형,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개별화모듈식교수학습모형, 문답교수학습모형(문답학습모형), 탐구교수학습모형(탐구학습모형), 발견교수학습모형(발견학습모형)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3.15
- 최종 저작일
- 2011.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개념획득교수학습모형,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개별화모듈식교수학습모형, 문답교수학습모형(문답학습모형), 탐구교수학습모형(탐구학습모형), 발견교수학습모형(발견학습모형)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개념획득교수학습모형
1. 교사는 가르쳐야 할 개념을 선정하고 심화하여야 한다
2. 교사는 적절한 교수-학습전략 및 관계되는 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3. 교사는 적절한 평가 절차를 개발적용하여야 한다
Ⅲ.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Ⅳ. 개별화모듈식교수학습모형
Ⅴ. 문답교수학습모형(문답학습모형)
Ⅵ. 탐구교수학습모형(탐구학습모형)
1. 실증주의(Positivism)
2. Bruner, Massialas & Cox, Fenton 등의 이론(New Social Studies)
1)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지식의 구조
2) 나선형 교육과정
3) 과학적 사회 인식
Ⅶ. 발견교수학습모형(발견학습모형)
1. 발견학습 모형의 이론적 배경
2. 발견학습(수업)모형의 기본 가정
3. 발견학습의 성공은 활동 자체에 앞서 먼저 교사의 역할에 달려있다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구성주의 관점이 전통적인 학교 교육 및 기업 교육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의 핵심은 기능(특히 지적 기능과 고차적 사고 기능)의 획득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전통적 학교 교육은 지적 기능보다는 탈맥락적 이면서 추상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것에 치중하였다(Graham, 1994), 학교에서는 대체로 개념과 원리를 추상적 차원에서 가르치고 있다. 학생들은 실제적인 사례를 이해하거나 해결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원리나 이론을 학습하기보다는 지식의 덩어리로써 원리나 이론자체를 학습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 학습자는 이차방정식 계산의 원리를 학습하면서 몇 가지의 간단한 연습 문제를 풀고 평가를 받지만, 실제로 이차방정식 계산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응용 문제가 주어지면 제대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구성주의는 심각한 문제 제기를 한다. 즉 지식의 구성 과정이 맥락적인 과정에서 발생하지 못하면, 결국 학습자는 필요한 기능을 획득하지 못한 상태에서 몇 가지의 인위적인 사례를 해결할 수 있는 데에 그치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대부분의 이론이나 실제 프로그램들은(Schank, 1992; Barrows, 1985; Honebein et al., 1993) 공통적으로 실제의 과제(authentic task)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맥락화된 스킬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PBL(Barrows, 1985)의 경우에는 환자의 진단과 처방이라는 스킬의 획득을 위한 학습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교육이 종료된 이후에 실제 스킬이 획득되어 있는 상태를 목표로 하고 있다. GBS(Schank, 1992)의 경우에는, 예컨대 전화번호부의 예상 광고주와 면담하는 문제 상황을 통하여 면담 스킬을 획득할 수 있게 하는 학습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ⅰ. 교육인적자원부,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학생중심 교수학습방법 워크숍, 2001
ⅱ.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탐색실천, 교육부지정 열린교육 시범학교운영보고서, 1998
ⅲ. 박성익,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Ⅱ), 서울 : 교육과학사, 1997
ⅳ. 이화진 외,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연구(연구보고 RRC 98-1), 교육과정 평가원, 1998
ⅴ. 추병완·최근순 공역,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서울 : 백의, 1999
ⅵ. 황윤한, 교수·학습 이론으로서의 구성주의, 1999b
ⅶ.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편,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 문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