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약노인 운동관리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11.02.28
- 최종 저작일
- 2010.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허약노인의 악순환 고리를 차단하기 위한 운동 전략은 ① 근육량 증가와 근력향상 ② 보행능력의 향상 ③ 유산소운동과 활동량 늘리기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핵심병리인 근감소증(sarcopenia)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육의 양을 늘려서 몸 안의 사이토카인을 변화시키고 염증을 줄이는 방향으로 몸을 바꾸어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동 동작이나 보행 능력에 변화를 줄 수 없다 하더라도 근육의 양을 늘리는 것 자체가 도움이 됩니다. 물론 이동과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은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목차
허약노인 운동관리의 이해
1. 허약노인 운동관리 프로그램의 개요
1) 허약노인을 위한 운동전략
[그림 1] 허약노인의 운동전략
2) 허약노인 운동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
2. 노인의 운동의 기본 구성요소와 처방 방법
1) 근력운동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
등속성 운동
◈ 저항운동 무게를 올리는 방법
◈ 기본저항운동의 구성
◈ 운동자각도(PRE)에 따른 근력운동 무게조절의 방법
◈ 운동자각도를 이용한 운동강도의 조절
◈ 근력운동 도구
① 손-팔 운동
② 다리 운동
2) 유연성 운동
3) 평형성 운동(균형운동)
4) 유산소 운동
① 운동 종류
② 운동 강도
③ 시간과 횟수
④ 주의사항
◈ 유산소운동의 방법
5) 그밖의 운동
◈ 주요 관절통증에 대한 치료적 운동
본문내용
1. 허약노인 운동관리 프로그램의 개요
1) 허약노인을 위한 운동전략
허약노인의 악순환 고리를 차단하기 위한 운동 전략은 ① 근육량 증가와 근력향상 ② 보행능력의 향상 ③ 유산소운동과 활동량 늘리기 등이 있습니다.[그림 1]
그 중에서도 핵심병리인 근감소증(sarcopenia)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육의 양을 늘려서 몸 안의 사이토카인을 변화시키고 염증을 줄이는 방향으로 몸을 바꾸어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동 동작이나 보행 능력에 변화를 줄 수 없다 하더라도 근육의 양을 늘리는 것 자체가 도움이 됩니다. 물론 이동과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은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그림 1] 허약노인의 운동전략
2) 허약노인 운동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
Gill 등(2002) 188명의 허약노인에게 상하지근력강화 및 균형운동에 초점을 맞춘 예방적 재활운동(prehabilitation)을 6개월 동안 가정방문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등도의 허약으로 분류된 대상자들의 노인기능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였습니다.
Nelson 등(2004)도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프로그램의 비용을 낮추기 위해 보다 단순화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으며, 이 또한 노인기능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였고 안전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국내에서는 선우덕 등(2008)이 14개 보건소에서 201명의 허약노인에게 실시한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 연구가 유일한데, 이를 통해 신체적 기능상태의 개선효과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던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2. 노인의 운동의 기본 구성요소와 처방 방법
기본적인 운동의 기본요소로 근력운동, 유연성운동, 평형성(균형)운동, 유산소 운동이 있으며 이 요소들을 포함하는 순환식 운동, 레크리에이션 운동, 요가, 체조, 태극권, 스포츠댄스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의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특정한 과제수행력을 위한 과제지향적 재활훈련, 통증이나 근골격계 치료를 보조하기 위한 치료적 운동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1) 근력운동
참고 자료
국립재활원|김완호,홍기요|국립재활원 지역사회재활추진단|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