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미술교육의 미술실기로 소묘에 대한 모든 것의 레포트입니다.
꼼꼼히 작성하였답니다. ^^/
목차
About Drawing
1. 소묘(drawing, dessin)의 정의
2. 소묘의 구분
3. 소묘의 재료
4. 소묘의 표현요소
5. 소묘의 기원
6. 소묘의 역사 ( 시대별로 정리 )
7. 소묘의 특징
본문내용
1. 소묘(drawing, dessin)의 정의
☞ 일반적으로 채색을 쓰지 않고 주로 선으로 그리는 회화표현. 프랑스어 데생의 역어이며 데생은 `그린다`는 뜻의 프랑스어 `데시네(dessiner)`에서 나온 말이다. 동양화의 묘법 가운데 선으로 윤곽을 나타내는 구륵법(鉤勒法)이나 먹의 농담으로 형태의 명암을 나타내는 몰골법(沒骨法) 같은 선묘법도 넓은 뜻의 소묘에 속한다.
① 한가지 색으로 그린 그림(단색화) ② 조형활동의 기초 훈련과정 ③ 대상의 형태, 명암, 양감, 동세의 표현 ④ 소묘 자체가 독립된 완성작품
2. 소묘의 구분
1) 그리는 목적에 따라
① 스케치(크로키) : 인상의 파악, 세부의 기록, 건축·조각·회화작품의 계획이나 착상의 전개를 위함
② 습작 : 운동감·명암법·해부학 등의 회화적 표현의 탐구 및 표현기술의 훈련을 목적으로 하거나 그 완성작의 세부 또는 전체의 구도를 뚜렷이 나타내기 위함
③ 밑그림(카르통) : 벽화나 태피스트리 등의 원작을 만들기 위함
④ 소묘 : 독립된 완성작품으로서의 소묘
2) 그리는 대상에 따라
① 석고소묘 ② 인물소묘 ③ 정물소묘 등
3) 그리는 방법에 따라
① 사실적·구상적(具象的) 소묘 : 대상을 있는 그대로 옮겨 그림
② 추상적·비구상적 소묘 : 대상을 가지지 않고 작가가 마음에 떠오른 생각이나 느낌 또는 이상을 선으로 직접 그려냄
③ 크로키 : 어떤 순간의 인상을 재빨리 옮겨 그림
④ 정밀묘사 : 대상의 세부를 세밀·정확하게 그려냄
3. 소묘의 재료 : 메탈포인트·연필·크레용·콩테·초크·파스텔·목탄 및 붓과 먹 등이 있으나, 연필소묘·목탄소묘·콩테소묘 등이 일반적이다.
① 연필 : 표현 방법이 다양( 4B)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