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NP-MOVEMENT
◈ Ⅱ. STRUCTURE PRESERVING CONSTRAINT
◈ Ⅲ. TRACE THEORY CONVENTION
◈ Ⅳ. 상위 범주 우선제약 (A-OVER-A CONSTRAINT)
◈ Ⅴ-1. 하위 인접조건 (SUBJACENCY CONDITION)
◈ Ⅴ-2. 복합 명사구 제약
◈ Ⅵ. 시제문 조건(TENSED S CONDITION)
◈ Ⅶ. 명시 주어 조건
◈ Ⅷ. 주어 목적어 비대칭
◈ Ⅸ. 격 이론 (CASE THEORY)
◈ Ⅹ. 격 이론에 입각한 PRO의 분석
◈ . 결속 조건(BINDING CONDITION)
본문내용
◈Ⅰ. NP-MOVEMENT
☞ CHOMSKY는 ‘명사구NP가 주절이나 __ 로 표시된 위치에서 종속 절의 주어였다‘ 고 주장했다.
ex) ⓐ John seems to me __ to be unhappy.
ⓑ It seems to me that John is unhappy.
ⓐ는 비정형절이며 시제가 없다.(non-finite)
ⓑ는 정형절이며 시제가 있다.(finite)
위의 문장에서 ‘John 이 종속절의 __부분에서 Rising 되어 주절로 이 동‘했다는 것인데, 이는 np-movement의 3가지증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증거1) 재귀대명사 해석규칙(Reflexive interpretation)
☞재귀대명사는 원래 같은 절 내에서 자신과 동일한 성, 수 , 인칭을 갖는다. (결국 앞의 명사구와 같이 해석되어야 함)
ex) John seems to me to have perjured himself.
재귀대명사 해석규칙에 의하면 재귀대명사는 속해있는 선행명사구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 John과 himself 가 같은 절 내에 있지 않다. 결국, himself 와 동일한 성, 수, 인칭을 갖는 John이 원래 himself와 같은절 내에서 np-movement 에 의해서 표면주절의 주어로 이동해 왔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다.
증거2) 일치 Agreement
☞서술명사구는 수에 있어서 그 주어와 일치 해야한다.
ex)They seems to me __ to be fools.
seems to-vp 구문의 표면 주어는 부정사 (to-vp) 구문의 기저 주어를 나타낸다. they와 fools가 다른 절에 있으나 그 수가 일치한다. 결국, They가 종속절의 주어로서 __자리에서 있었다고 가정하면 서술명사가 그것이 속해있는 절의 기저주어와 일치한다. 이는 np-movement가 있었다는 증거이다.
증거3) 관용적 명사구 (Idiom chunk)
☞영어에는 특정한 표현의 주어로만 쓰이는 관용구적 명사구가 있다.
ex) ⓐ The cat is out of the bag
ⓑ The cat seems __ to be out of the bag.
ⓐ에서 보듯이 주어 The cat이 예문ⓑ의 to be out of the bag의 주어자리에서 seems의 주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결국 np-movement 이동에 의해 __표시된 위치에서 관용구적 서술어의 주어가 이동해 주절의 위치로 이동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Ⅱ. STRUCTURE PRESERVING CONSTRAINT
(구 구조 보존 제약)
☞구성성분 대치 규칙에 의하여 동일한 유형의 범주로만 이동 할 수 있 다. 다시 말해서 주어진 범주 [Xn]은 다른 [Xn]범주에 의해서만 대치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