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테네의 철학
1) 희랍의 소피스트들
2) 소크라테스
3) 소크라테스학파
4) 소크라테스의 독배
본문내용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 아테네의 철학
1) 희랍의 소피스트들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480~410 B.C.) : 아브데라 출신
고르기아스(Gorgias, 483~375 B.C.) : 레온티노이 출신
히피아스(Hippias, 420 B.C. 활약함) : 엘리스 출신
프로디코스(Prodikos, 420 B.C. 활약함) : 케오스 출신
트라시마코스(Thrasymachos, 420 B.C. 경에 활약함) : 칼케돈 출신
이소크라테스(Isokrates, 436~338 B.C.) : 아테네 출신
12세기 동안 희랍인들 사이에는 우주론적 사색론과 함께 또 하나의 철학적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 움직임은 기원전 5세기 후반동안에 국력과 부가 절정에 달하였던 아테네가 그 중심이었다.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페리클레스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군인. 평의회·민중재판소·민회에 실권을 가지도록 하는 법안을 제출해 민주정치의 기초를 마련했다. 외교상으로는 강국과는 평화를 유지했고 델로스동맹의 지배를 강화했다. 페리클레스의 시대는 아테네의 최성기였다.
의 시대라고 불리어지는 시대로서 정치적 업적, 문화의 전성(全盛), 그리고 예술의 숭고성에 대한 인식의 보급 등이 그 어느 때보다도 현저한 시기였고 그 대표적인 인물들은 본토인이 아니라 희랍의 여러 도시로부터 온 사람들이었다. 이와 같은 사람들 가운데는 이른바 소피스트라고 불리는 일파가 있었다.
소피스트(sophist) 소피스트라는 이름은 ‘지혜로운’과 ‘지혜’로 변역되는 ‘소포스(sophos)`와 ’소피아(sophia)`라는 그리스어와 연관되어 있다. 이 용어들은 그 의미에 있어서 일종의 진화를 겪어왔다. 첫째, 특수한 공예 기술, 특히 수공예 기술에서부터 둘째, 실천적 지혜와 정치적 식견을 거쳐 셋째, 학문적이론적 또는 철학적 지혜라는 의미에 이르렀다.
참고자료
· 스털링 P, 램프레히트, 서양 철학사. 을유문화사. 2009
· 조지 커퍼드, 소피스트 운동. 아카넷. 2003
·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명. 문예출판사. 1999
·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사양철학사. 이문출판사. 1999
· 강성률, 서양철학사 산책. 평단. 2009
· 한스 요아킴 슈퇴릭히, 세계철학사(상). 분도출판사. 197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