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의 국제적 위상
- 최초 등록일
- 2011.01.26
- 최종 저작일
- 2011.0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재외동포에 대해 다방면으로 알아보고 여러 사례를 통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도 도출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목적
Ⅱ. 재외동포의 성격
1. 재외동포의 의미
2. 재외동포의 현황(특성)
Ⅲ. 재외동포 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1. 재외국민 참정권 문제
2. 재외동포 차세대 민족 정체성 교육
3. 중국의 동포정책(모범사례)
Ⅳ. 재외동포의 공로
1. 재외동포의 지역적 공로(미국)
2. 재외동포의 활동사례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연구 목적
식민지 시절 청산리 전투를 포함한 의병활동이 없었다면 우리는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졌을 것이다. 비록 승리는 못하였지만 의병활동이 있었기에 우리는 식민지였음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을 이룬 민족이 되었다.
또한 산업화를 추진하던 시기에는 낯선 이국땅을 무대로 활동하는 젊은 한국인들은 산업화 과정의 ‘의병’들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대내외적 압박 속에서 대한민국은 산업화를 이뤄냈고, 또 정치적인 민주화도 이루었다.
한민족의 역사를 4천년이라 하지만 근세사 100년만큼 격동의 시기는 없었을 것이다. 한민족은 20세기를 수난의 시기와 기적의 시기를 살아왔다. 이런 20세기의 수난과 기적은 한민족을 내부, 외부의 견제 세력에 자정능력을 갖추게 함으로서 국민들의 애국심과 민족정신을 고취시킨 계기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이 중심에는 170개국 약 700만 재외동포의 노력과 공헌이 컸다고 할 수 있다. 해외동포의 가치를 말하자면 동포 1명은 국내 한국인 10명의 역할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은 10배의 동포를 가진 셈이다.
세계화라는 키워드로 대변되는 국제사회에서 경제, 정치, 문화적으로 재외동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평가 받고 있으며 민간 외교관으로서의 역할, 한국 제품을 선전하는 외판원으로서의 역할 그리고 한국 문화를 선전하는 문정관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동포들은 근면과 성실로써 슬기롭게 오늘날의 튼튼한 경제, 문화적 기반을 이루었다. 이들이 바로 21세기 글로벌 네트워크 시대에 우리가 가장 필요로 하는 민족 네트워크의 거점이자 선구자들이다. 따라서 재외동포들이 세계 곳곳에 뿌려놓은 씨앗을 소중히 인식하고 이들을 공동번영의 전략적 파트너로 삼아야 하겠다.
그렇다면 재외동포의 국제적 위상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국제문제조사연구소,「해외 한민족의 현재와 미래」, 1996
재외동포 포럼, 「재외동포와 함께 세계화로」, 2009
외교통상부, 「참여정부의 재외동포정책」, 2006
교육인적자원부, 「재외동포교육 강화 방안」, 2007
스털링 시그레이브 저, 「중국 그리고 화교」, 2002
재외동포 포럼, 「동포는 지금」, 2005
김형규 저, 민족의 기억과 재외동포 소설, 2009
재외동포신문, http://www.dongponews.net/news
연합뉴스 , http://www.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