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휴...이 레포트 쓴다고 듁는줄 알았습니다. ㅡㅡ;;
황순원의 학은 자료가 많지만
곡예사는 정말로 한건도 없더군요 ㅠㅠ
그래서 제가 전부 다 썼습니다.
황순원 작품을 전쟁문학의 관점으로 보는시각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아서
교수님께 좋은 점수를 받으실겁니다.
실지 아무나 다 말하는 내용은 교수님의 흥미를 끌지 못하기
마련이죠*^^*
정리 굉장히 잘하고 흥미로웠다고 교수님께 칭찬 들었습니다.
한번믿고 다운받아보세요^^
곡예사 필요하신 분들도 받아보면 좋을듯~!
목차
들어가며 작가소개
◈ 생애
◈ 활동상황
작품분석
---[학]----
---곡예사---
◈ 들어가며
◈ 줄거리
◈ 작품개요
◈ 인물의 성격
◈ 배경이 왜 부산일까??
◈ '학'의 의미
◈ 작품분석
◈작품분석
황순원의 전쟁소설 연구
◈ 서론
◈ 전쟁 비판과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
◈ 전쟁의 피해와 성격에 대한 성찰
나가며
본문내용
황순원의 문학적 출발은 일제 말기의 식민지 탄압이 극도에 달해 언론의 자유가 철저히 제한되고, 민족 언어의 표현이 금지되던, 불행한 문화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다. 많은 작가들이 친일로 기울고, 일본어로 글을 쓰던 그 무렵에 황순원은 읽혀지지도 않고 발표되지도 않을 작품을 쓰면서 암담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한국어를 지키려는 비장한 각오로 글쓰기를 시작한 것이다. 황순원의 문학적 출발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이 사실은 해방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거의 반세기의 세월을 섬세하면서도 꿋꿋한 작가적 태도로 의 길을 걸어 왔던 그의 작가정신의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그는 세속적인 욕심으로 흔들린 적이 없었고, 잡문이나 연재소설을 쓰지 않는 작가로 유명했으며, 오직 자신의 문학 작품을 통해서만 자기 자신을 증여하려는 결벽성으로 잘 알려진 작가이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그러므로 현실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능동적인 의지로 지켜진 것이지 주어진 상황과 그의 성격에 의해서 우연히 형성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자기의 세계를 구축하고 견지해 온 그의 작가적 태도는 그 나름대로 세속적인 유혹에 빠져들지 않고 조용한 힘으로 버틴, 어떤 실존적인 선택의 결단인 것이다.
참고 자료
김동리, [문단10년의 개관], {연합신문}, 1958.8.15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일지사, 1988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81
김재영, [피부에 남은 전쟁의 기억], {작가연구}, 1996.10
남태제, [황순원 문학의 낭만주의적 성격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7
노애리, [황순원 단편소설 연구], 서울대대학원, 2000
박혜경 , [황순원 문학 연구], 동국대 박사논문, 1994
신영덕, {한국전쟁기 종군작가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이기윤, {한국전쟁문학론}, 봉명, 1999
임진영 , [황순원 소설의 변모양상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9
장현숙, {황순원문학연구}, 시와시학사, 1994
한국문인협회 편, {해방문학 20년}, 정음사, 1966
황순원 외,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지성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