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초기청자에 있어서 해무리굽완 문제점의 재검토, 한국 청자제작의 개시시기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 최초 등록일
- 2010.12.28
- 최종 저작일
- 2009.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국초기청자에 대한 해무리굽완 문제점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 재검토의 출발점
Ⅱ. 해무리굽완의 특질:특히 월주요의 옥벽저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Ⅲ. 해무리굽완의 전개
Ⅳ. 이른바 ‘선해무리굽완 해무리굽완의 앞선 형식의 완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1980년데에 용인시 서리요의 발굴성과를 토대로 성립되었다. ’ 문제
Ⅴ. 해무리굽완 등을 통하여 본 한국 청자 제작의 개시시기
Ⅵ. 맺음말: 한국청자 제작의 개시시기로서의 10세기2/4분기
본문내용
내용요약 Ⅰ. 문제의 제기 : 재검토의 출발점
한국의 청자와관련된 문제들 가운데 과연 한국에서 언제부터 청자를 제작하기 시작했을까하는 것만큼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온 것도 드물 것이다.
현재까지 한국 청자 제작의 개시시기를 파악하는 데 직접적인 단서가 될 만한 기년명 자료는 발견된 바가 없다. 이로 말미암아 청자 제작의 개시시기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1970년대말 이래 학자에 따라 9세기전반설로부터 10세기후반설에 이르는 다양한 견해가 제출되었다. 그렇지만 한 가지 의견이 일치되는 것은 이 문제 해결의 핵심적인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무엇보다도 ‘해무리굽완’이라는 사실이다.
1992년 중국과의 수교로 중국의 옥벽저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전기가 마련되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해무리굽완을 생산한 많은 요지들이 조사·발굴 되어 해무리굽에 대한 이해도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러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청자 제작의 개시시기에 대한 견해의 차이가 좁혀지기는커녕 오히려 더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말하자면 9세기전반설과 10세기후반설이 오랜 기간 동안 대립되어 온 원인에 대한 검토를 청자 개시시기에 대한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9세기전반설과 10세기 후반설이 오랜 기간 동안 의견의 접근을 보지 못한 주요 원인이 해무리굽과 옥벽저, 그리고 양자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미흡함과 서리요에서 출토된 ‘선해무리완’에 대한 이해 차이에 있다.
본고에서 청자 제작의 개시시기 문제를 해명하기 위하여 해무리굽의 문제를 검토해보자.
Ⅱ. 해무리굽완의 특질:특히 월주요의 옥벽저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초기청자의 해무리굽이 가지는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그 대부분이 특정한 기형의 완에서만 보인다는 점이다. 그 완은 측면선이 직선이거나 직선에 가까운, 마치 삿갓을 엎어놓은 듯한, 이른바 두립형완(또는 두립완·도립완)이다. 반면에 중국의 옥벽저의 경우는 그러한 굽을 가지는 기종이 훨씬 다양하다. 한편, 해무리굽완의 경우 측사면의 경사가 한결 같지는 않지만, 동일한 유형의 옥벽저완(두립형의 옥벽저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급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운두 운두 : 그릇의 높이는 옥벽저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저경은 작은 편이다. 이는 번법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포개구이를 할 경우는 쌓은 그릇들이 굽는 관정에서 서로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측사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고, 쌓은 그릇이 넘어지지 않도록 저경을 되도록 크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그릇을 포개지 않고 한 개씩 구울 때는 그럴 염려가 없거나 적어지므로 굳이 측사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거나 저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해무리굽완이 옥벽저경과 비교하여 그러한 특징을 갖게 된 것은 상대적으로 포개구이의 빈도가 낮았던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옥벽저완의 경우도 포개구이를 지양해감에 따라 점차 측사면의 경사가 급해지고 저경도 작아지며 운두도 높아져 간 것으로 판단된다. 만당 이후의 두립형완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