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조사의 목적 및 방향
Ⅱ. 주요 작물의 특성
1.옥수수
1.1.옥수수의 기원 및 전파
1.1.1.개괄적 설명
1.1.2.옥수수의 기원
1.1.3.옥수수의 국내 전파
1.2.옥수수의 재배학적 가치
1.3.옥수수의 생리생태적 특성
1.3.1. 옥수수의 생리
1.3.2.옥수수의 생태
2.감자
2.1.감자의 기원 및 전파
2.1.1.개괄적 설명
2.1.2.감자의 기원
2.1.3.감자의 국내 전파
2.2.감자의 재배학적 가치
2.3.2.감자의 생태
3.강낭콩
3.1.강낭콩의 기원 및 전파
3.1.1.개괄적 설명
3.1.2. 강낭콩의 기원
3.1.3.강낭콩의 국내 전파
3.2.강낭콩의 재배학적 가치
3.3.강낭콩의 생리생태적 특성
3.3.1.강낭콩의 생리
3.3.2.강낭콩의 생태
4.완두콩
4.1.완두콩의 기원 및 전파
4.1.1.개괄적 설명
4.1.2.완두콩의 기원
4.1.3.완두콩의 국내 전파
4.2.완두콩의 재배학적 가치
4.3.완두콩의 생리생태적 특성
4.3.1.완두콩의 생리
4.3.2.완두콩의 생태
Ⅲ. 주요 작물의 작부체계
1.옥수수의 작부체계
1.1.옥수수와 헤어리베치
1.2.옥수수와 참깨
1.3.옥수수와 호밀·이탈리안라이그라스
1.4.옥수수와 클로버
1.5.찰옥수수 2기작
1.6.옥수수와 호박, 감자, 고구마, 오이, 멜론
2.감자의 작부체계
2.1.봄감자와 벼
2.2.감자와 옥수수
2.3.감자와 시금치
3.콩의 작부체계
3.1.콩과 마늘, 양파
3.2.콩과 옥수수
3.3.콩과 봄배추
3.4.콩과 가을배추
3.5.콩과 봄감자
3.6.콩과 보리
3.7.콩과 호밀
Ⅳ. 결언 및 제언
Ⅴ. 참고자료
Ⅰ. 조사의 목적 및 방향
Ⅱ. 주요 작물의 특성
1.옥수수
1.1.옥수수의 기원 및 전파
1.1.1.개괄적 설명
1.1.2.옥수수의 기원
1.1.3.옥수수의 국내 전파
1.2.옥수수의 재배학적 가치
1.3.옥수수의 생리생태적 특성
1.3.1. 옥수수의 생리
1.3.2.옥수수의 생태
2.감자
2.1.감자의 기원 및 전파
2.1.1.개괄적 설명
2.1.2.감자의 기원
2.1.3.감자의 국내 전파
2.2.감자의 재배학적 가치
2.3.2.감자의 생태
3.강낭콩
3.1.강낭콩의 기원 및 전파
3.1.1.개괄적 설명
3.1.2. 강낭콩의 기원
3.1.3.강낭콩의 국내 전파
3.2.강낭콩의 재배학적 가치
3.3.강낭콩의 생리생태적 특성
3.3.1.강낭콩의 생리
3.3.2.강낭콩의 생태
4.완두콩
4.1.완두콩의 기원 및 전파
4.1.1.개괄적 설명
4.1.2.완두콩의 기원
4.1.3.완두콩의 국내 전파
4.2.완두콩의 재배학적 가치
4.3.완두콩의 생리생태적 특성
4.3.1.완두콩의 생리
4.3.2.완두콩의 생태
Ⅲ. 주요 작물의 작부체계
1.옥수수의 작부체계
1.1.옥수수와 헤어리베치
1.2.옥수수와 참깨
1.3.옥수수와 호밀·이탈리안라이그라스
1.4.옥수수와 클로버
1.5.찰옥수수 2기작
1.6.옥수수와 호박, 감자, 고구마, 오이, 멜론
2.감자의 작부체계
2.1.봄감자와 벼
2.2.감자와 옥수수
2.3.감자와 시금치
3.콩의 작부체계
3.1.콩과 마늘, 양파
3.2.콩과 옥수수
3.3.콩과 봄배추
3.4.콩과 가을배추
3.5.콩과 봄감자
3.6.콩과 보리
3.7.콩과 호밀
Ⅳ. 결언 및 제언
Ⅴ. 참고자료
목차
Ⅰ. 조사의 목적 및 방향
Ⅱ. 주요 작물의 특성
1.옥수수
1.1.옥수수의 기원 및 전파
1.1.1.개괄적 설명
1.1.2.옥수수의 기원
1.1.3.옥수수의 국내 전파
1.2.옥수수의 재배학적 가치
1.3.옥수수의 생리생태적 특성
1.3.1. 옥수수의 생리
1.3.2.옥수수의 생태
2.감자
2.1.감자의 기원 및 전파
2.1.1.개괄적 설명
2.1.2.감자의 기원
2.1.3.감자의 국내 전파
2.2.감자의 재배학적 가치
2.3.2.감자의 생태
3.강낭콩
3.1.강낭콩의 기원 및 전파
3.1.1.개괄적 설명
3.1.2. 강낭콩의 기원
3.1.3.강낭콩의 국내 전파
3.2.강낭콩의 재배학적 가치
3.3.강낭콩의 생리생태적 특성
3.3.1.강낭콩의 생리
3.3.2.강낭콩의 생태
4.완두콩
4.1.완두콩의 기원 및 전파
4.1.1.개괄적 설명
4.1.2.완두콩의 기원
4.1.3.완두콩의 국내 전파
4.2.완두콩의 재배학적 가치
4.3.완두콩의 생리생태적 특성
4.3.1.완두콩의 생리
4.3.2.완두콩의 생태
Ⅲ. 주요 작물의 작부체계
1.옥수수의 작부체계
1.1.옥수수와 헤어리베치
1.2.옥수수와 참깨
1.3.옥수수와 호밀·이탈리안라이그라스
1.4.옥수수와 클로버
1.5.찰옥수수 2기작
1.6.옥수수와 호박, 감자, 고구마, 오이, 멜론
2.감자의 작부체계
2.1.봄감자와 벼
2.2.감자와 옥수수
2.3.감자와 시금치
3.콩의 작부체계
3.1.콩과 마늘, 양파
3.2.콩과 옥수수
3.3.콩과 봄배추
3.4.콩과 가을배추
3.5.콩과 봄감자
3.6.콩과 보리
3.7.콩과 호밀
Ⅳ. 결언 및 제언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조사의 목적 및 방향
봄을 맞이한다는 입춘이 지난지도 벌써 2달이 지났다. 하지만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하의 날씨였던 입춘 날의 기온은, 올봄이 예년에 비해 쌀쌀한 날씨일 것 이라는 것을 예상케 하였다. 실제로 지난 겨울의 기후 특성에 대해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예년보다 기온변화가 심했고, 많은 비와 눈이 내렸다. 특히 올 2월의 경우 평년 대비 강수량이 227% 증가하였다. 또한 2월의 일조시간 및 일사량 역시 평년에 대비해 감소하였다고 한다. 이는 작물의 생육불량, 수량감소 및 상품성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때보다 우리 영농인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는 이에 4가지 주요 작물(옥수수, 감자, 강낭콩, 완두콩)의 개괄적인 특성과 함께, 기원, 재배학적 가치 및 생리생태적 특성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작부체계를 알아보자. 우리가 선택한 4가지 주요 작물은 각각 화곡류(옥수수), 서류(감자), 두류(강낭콩, 완두콩)를 대표하는 작물로서, 이를 통해 각 종류의 재배에 대한 윤곽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우리의 주제에 대한 용어정리가 필요하기에 이를 정리를 해보겠다.
생리생태(Physioecological)라는 말은 생리와 생태의 합성어로서, 자연환경이나 인공환경 속에서의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육의 양상을 말하는 단어이다. 즉, 어떠한 환경 속에 놓인 생물의 생리라고 보면 될 것이다. 작물의 수량 삼각형에서‘환경조건’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며 우리에게 있어 어떠한 환경은 경지를 말하는 것이며, 4가지 작물의 생리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작부체계(cropping system)란 작물의 종류별 재배순서를 말하는 단어이다. 한 책에서 내린 정의는 좀 더 구체적으로서 다음과 같다.
‘일정한 포장에서 몇 종류의 작물을 해마다 바꾸어 재배(윤작·다모작·자유작)하거나 또는 같은 해에 여러 작물을 조합·배열하여 함께 재배(간작·혼작·교호작·주위작)하는 재배방식’
참고자료
· 외부 자료 인용이 많으므로 목차별 양식의 표를 첨부하여 출처를 밝히겠다.
· 체제천·강병화·박순직·김석현, (삼고)재배학원론 , 3/E, 향문사, 2006
·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대응방안 공유 ,아란의 한국농업 읽기, http://blog.naver.com/my220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