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서비스 구조
DMB 송신 시스템
DMB 계층 개념
DMB 컴포넌트
1. DMB Audio 특성
2. DMB Video 특성
① Network Abstraction layer
② Video Coding Layer
③ 마크로 블록으로 그림의 서브 분할
④ Intra-frame prediction
⑤ P 슬라이스에서의 모션 보정
⑥ B 슬라이스에서의 모션 보정
⑦ Transform, scaling and quantization(양자화)
⑧ 엔트로피 코딩
⑨ IN-loop deblocking filter
⑩ 비월 코딩(Interlace Coding) Tools
⑪ 프로파일과 레벨(Profiles and levels)
⑫ 이전의 코딩 표준과 H.264/AVC 코딩의 효율성의 비교
+ BSAC의 기술
1. DMB Audio 특성
2. DMB Video 특성
① Network Abstraction layer
② Video Coding Layer
③ 마크로 블록으로 그림의 서브 분할
④ Intra-frame prediction
⑤ P 슬라이스에서의 모션 보정
⑥ B 슬라이스에서의 모션 보정
⑦ Transform, scaling and quantization(양자화)
⑧ 엔트로피 코딩
⑨ IN-loop deblocking filter
⑩ 비월 코딩(Interlace Coding) Tools
⑪ 프로파일과 레벨(Profiles and levels)
⑫ 이전의 코딩 표준과 H.264/AVC 코딩의 효율성의 비교
+ BSAC의 기술
목차
Ⅳ. DMB 구현을 위한 기술적 특성
1. DMB Audio 특성
2. DMB Video 특성 (H.264)
Ⅴ. 맺음말
본문내용
Ⅴ. 맺음말
방송의 디지털화는 기존의 방송 개념뿐만 아니라 서비스 영역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일방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했던 과거로부터 앞으로는 상호 양방향의 콘텐츠 및 정보의 요구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TV를 통해서도 전자 상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방송과 통신 융합의 대표적인 서비스의 하나인 지상파 DMB나 위성 DMB는 단순한 방송의 영역을 넘어 통신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의 프로토콜 접속 규약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PDA나 휴대폰 등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 언제든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DMB 방송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서비스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라디오의 경우 지금까지는 듣기만 하였으나 DMB 서비스로 인하여 보고 듣는 라디오로 발전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고품질의 음성 및 영상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뛰어난 이동 수신 특성 때문에 고화질․고음질을 추구하는 디지털 지상파 TV방송과 보완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PDA, 이동 통신 단말기와 결합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획기적인 수요 창출이 일어날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