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실추에 관한 소논문
- 최초 등록일
- 2010.12.19
- 최종 저작일
- 2010.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교권실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대한 각 사회요소의 대책을 생각해보았다.
에이플 받은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교권의 현 위치
2. 교권 실추의 원인
1) 사교육
2) 가정교육약화
3) 교사의 전문성
4) 각종 전자매체
3. 보수언론과 보수정부가 만들어놓은 악의적인 프레임
⦁보수정부와 보수언론은 왜 교사를 공격하는가?
Ⅲ.대책
1. 개인적 측면
2. 국가적 측면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서울의 한 고등학교 체육교사인 W(28·여)씨는 지난 10월부터 밤 10시만 되면 낯뜨거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받고 있다. 자폐증이 있는 한 학생의 전화번호가 찍힌 문자는 ‘오늘 밤 예체능실에서 혼자 기다리세요. 제가 얼른 갈게요.’로 시작해 강도가 점점 세지고 있다. “같은 반 친구들이 이 학생의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해 번갈아 문자를 보내는 것 같아요. 애들 사이에서 유희의 대상이 된 것 같아 치욕스러워요.” - 어느 신문에 실린 한 기사의 일부이다. 언제부터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이렇게 변했을까? 이런 상황이라면 교원은 스스로 교직에 긍지를 갖고 있을 수 없다. 교권이 떨어지면 교사를 불신하게 되고 외부적 요인이나 권위에 의해 강요와 지시가 증대됨으로써 교사의 자율성은 극히 제한을 받게 된다. 실추되고 있는 교권의 실태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한다.
참고 자료
▶ 이행원 저, [한국사회와 리더십], (나남, 1997)
▶ 김영봉 저, [교육학개론], (서현사, 2007)
▶ 서정화, 교수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수행이 어렵다. ⦅새 교육⦆2000년 2월호
▶ 고요한 저, [교육의 철학(소유에서 존재로], (서현사, 2007)
▶ 이재우 저, [우리의 교육현실 산책], (진한엠엔비, 2006)
▶ 고영규 저, [학교야 일어나라], (자유지성사, 2003)
▶ 황원철, [공교육(이념,제도,개혁)], (원미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