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조부흥론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시조부흥론의 대두와 전개
3. 시조 부흥론 비판
4. 부흥론과 비판론의 대립
5. 나오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시조부흥운동은 국민문학파가 민족주의 문학운동의 실천방법으로 제시한 현대시조 창작운동을 말한다. 1920년대에 경향문학, 프로문학에 대한 대타의식으로 이루어진 문학을 「국민문학」이라 말하며, 국민문학을 창작하고 그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모여든 일군의 시인, 작가들을 국민문학파라 하였는데, 여기에는 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조운등 당시 한국문단을 이끈 시조작가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국민문학파는 전통과 역사, 국어에 강한 관심을 보였으며, 작품 창작을 통해 민족의식과 국가의식을 고취했다. 1920년대 당시, 일제에 항거하고 민족의식과 국가의식 고취를 위해 문화운동은 필요하였고, 국민문학파는 그 하나의 방법으로 시조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지금부터 시조부흥운동의 대두와 전개과정, 그리고 시조부흥론에 대한 비판론과 그 대립에 대하여 살펴보고, 아울러 시조부흥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보겠다.
2. 시조부흥론의 대두와 전개
국민문학파의 시조부흥에 관한 논의는, 1926년 5월 육당 최남선의 「조선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라는 글을 통해 시작된다. 최남선은 이 글에서 프로문학운동에 대항할 수 있는 국민문학운동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의 하나로 시조부흥론을 전개한다. 최남선의 글은 국민문학이라는 용어 자체의 출현을 낳기도 했지만, 시조부흥에 대한 그의 신념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가 이미 신문학의 초창기부터 신시운동에 앞장서서 신체시와 창가 등의 새로운 시형식을 시험하며, 신시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조에 대한 애착을 갖게 된 것은 조선적인 것에 대한 착안과 깊은 관계가 있다.
시조는 조선인의 손으로 인류의 운율계에 제출된 시형이다. 조선의 풍토와 조선의 성정이 음조를 빌어 그 운동의 한 형상을 구현한 것이다. 음파의 위에 던진 조선아의 그림자이다. 어떻게 자기 그대로를 가락있는 말로 그려낼까 하여 조선인이 오랫동안 애를 쓰고서 이때까지 도달한 막다른 골이다. 조선심의 방사성과 조선어의 섬유조직이 가장 압축된 상태에서 표현된 공든탑이다.
참고 자료
김영민,『한국 근대문학 비평사』, 소명출판, 1999.
권영민,『한국의 문학비평』, 민음사, 1995.
박철희․조규설 공편,『시조론』, 일조각, 1978.
윤병로,『한국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조남현,『한국 현대문학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조순호,「국민문학파의 시조부흥운동 고찰」,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홍문표,『문학 비평론』, 양문각,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