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지구단위계획 사례조사 및 분석(서울시 관악구 중심)
*정*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국내 지구단위계획 사례조사 및 분석(서울시 관악구 중심)A+ 맞은 Report
목차
Ⅰ. 관악구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현황1) 관악구의 행정구역 변천
2) 도시계획에 관한 관악구 현황
3) 관악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현황
Ⅱ. 지구중심(보천, 신림, 난곡사거리) 개발계획 분석
1) 봉천지구중심 지구단위 계획
① 계획의 범위와 추진내용
② 획지규모 및 조성에 관한 계획
③ 공공개발과 획지
2) 신림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① 계획의 범위와 추진내용
② 획지규모 및 조성에 관한 계획
③ 공공개발과 획지
3) 난곡사거리 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① 계획의 범위와 추진내용
② 획지규모 및 조성에 관한 계획
③ 공공개발과 획지
Ⅲ.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1) 관악구의 행정구역 변천관악이라는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62. 11. 21일자 법률 1172호로 1963. 01. 01부터 서울특별시 행정구역을 확장함에 따라 경기도 시흥군 동면 시흥리, 독산리, 가리봉리, 신림리, 봉천리를 영등포구에 편입하고 새로 편입된 지역의 행정처리를 위해 출장소를 설치하고 그 명칭을‘관악 출장소’로 명명하면서 부터라고 한다. 1973. 03. 12일자 대통령령 제6548호로 같은해 07. 01 지금의 관악구를 비롯하여 동작구와 서초구 지역 일부를 영등포구에서 분리, 별도의 구로 신설하고 ‘서울특별시 관악구’로 명명하면서부터 이다.
현재까지 관악구 지역의 지명을 찾아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로 꼽히는 것은 「삼국사기」이다. 이 기록에 따르면 관악구 봉천동, 신림동 지역을 고구려시대에는 잉벌노(仍伐奴)로 불렀으며, 신라통일 이후 경덕왕(745-762)때에는 곡양현(穀壤懸)으로 개명하였고, 고려시대에는 금주(衿州)라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관악구 지역은 조선 500년간 경기도 시흥군 동면 지역과 과천군 하북면의 일부였다가 1960년대에 이르러 서울시의 급속한 인구증가 추세로 말미암아 인구의 분산ㆍ행정능률 및 산업의 정상적인 종합개발을 주안점으로 한 행정구역의 대폭적인 개편이 불가피하게 되어, 1962. 11. 21을 기하여 법률 재 1172호 「서울특별시ㆍ도ㆍ군ㆍ구의 행정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게 됨에 따라 서울시의 행정구역 확장으로 현재의 관악구 지역은 영등포구에 편입되면서 관악출장소에서 행정을 맡게 되었다.
한편 관악구 지역의 행정을 맡아보던 관악출장소는 1968. 01.01 서울특별시조례 제 491호로 폐지되어 영등포구의 직할로 편입되었다.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로 인하여 구간의 불균형이 심화되어 1973. 07. 01 대통령령 제 6548호(1973. 03. 12 공포)로 관악구가 영등포구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이 때 관악구에 편입된 지역은 현재의 동작구 노량진동, 본동, 상도동 등 9개동, 서초구의 방배동, 서초동, 반포동, 잠원동, 양재동으로 5개동 및 현재의 관악구 지역인 봉천동, 신림동이었다.
참고 자료
김원철, 2008. 08. 원활한 공동개발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관악구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구자훈, 이희정, 2006, 서울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지침 요소의 운영 특징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v.41 n.2, p 67~78.
박무익, 2000, 지구단위게획제도의 도입배경과 주요내용, 한국도시설계학회 세미나, p11~12.
박재범, 김도년, 신중진, 장대원, 2005,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21 n.10(2005-10)
어인준, 이창구, 문석, 이원근, 김영하, 2001, 지구단위계획에서 공동개발 유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v.21 n.1(2001-04)
이희정, 2005, 서울시 지구단위게획 실행여건 및 운영단계별 문제점 개선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v.40 n.6(통권 145호)(2005-11) p143~159.
이희정, 2006,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구역여건과 개발실태 비교분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v.41 n.4(통권 150호)(2006-08) p77~88.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지구단위계획의 이해, 기문당.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국내 지구단위계획 사례조사 및 분석(서울시 한남지구, 동해시 중심) 13페이지
- 지구단위계획강의1부 79페이지
- 서울시 관악구 캐드 지적도 파일입니다. 0페이지
- 재개발 재건축 관련 불법행위에 관한 사례분석 14페이지
- 재개발,재건축에 관하여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