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광균 <추일서정>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이남호의 연구
2. 장도준의 연구
3. 김유중 연구
4.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현대시연구□
김광균 「추일서정 秋日抒情」
1. 이남호의 연구 이남호,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현대문학, 2001. 요약
문학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모더니즘이나 이미지즘 사조를 가르치기 위해 김광균의 작품을 다루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이 작품에서 그러한 요소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중등학교 과정에서는 그에 대한 이해는 간단히 하고 작품 자체, 즉 개성적인 비유로 가을의 풍경을 노래했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추일서정」의 감상은 교과서에 제시된 감상의 길잡이나 시인의 작품세계 등을 완전히 무시하고, 작품자체를 감상해야 한다.
시를 1~3행, 4~11행, 12~16행,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최문준(김광균 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은 내용상 네 단락(1~3행, 4~7행, 8~11행, 12~16행)으로 나누고, 크게 두 부분(1~11행, 12~16행)으로 나누고 있다. 크게 봐서 앞부분은 자연을 도시적, 문명적 사물에 비유하여 표현하였고, 뒷부분은 문명화된 자연을 바라보는 시인의 심경이 묘사되어 있다고 하였다.
첫 부분은 가을날의 낙엽을 망명 정부의 지폐로 비유하고 그 배경을 포화(砲火)에 이지러진 도시로 설정해 둠으로써, 어수선함, 버림받음, 소외, 가치 없음, 무시당함, 쓸쓸함 등의 느낄 수 있다. 둘째 부분은, 이 시가 회화적인 시임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독특한 비유를 써서 도시의 변두리라 짐작되는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길은 구겨진 넥타이, 햇살은 폭포, 기차의 연기는 담배 연기, 잎이 없는 앙상한 포플러나무를 인체의 근골(근육과 뼈), 공장의 지붕은 이빨, 구름은 셀로판지로 비유하면서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를 전한다. 이들은 풀어졌고, 멀리 사라지고, 삭막하고, 건조하고, 딱딱한 느낌으로 첫 부분과 연결된다. 마지막 부분에는 가을 풍경의 황량함에 대한 시인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자연의 풍경과 화자의 감정혼합은 김광균의 시에 나타나는 하나의 스타일이다.
「추일서정」의 감상은, 전반부의 풍경 묘사에 나타난 비유와 그 비유가 만들어 내는 정서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여기서 좀 더 나아가면, 이미지즘과 모더니즘에 대한 설명도 가능하다.
참고 자료
이남호,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현대문학, 2001.
김유중, 세계 작가 탐구(한국편)-김광균,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장도준, 우리 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태학사, 1996.
김태진, 한국현대시작가연구-김광균 시 연구, 보고사, 1996.
최문준, 김광균 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김만성, 김광균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