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고찰 및 결론
전체적으로 XRD 측정법을 통해 얻어진 그래프와 ICDD 카드를 찾아 Hanawalt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두 미지시료는 α-Al2O3와 (TiO2)6T인 것으로 판별되었다. 실험을 하고 피크의 정보를 검색해보는 과정을 거친 결과 우리 조는 XRD로도 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결과 값과 ICDD카드의 값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는데, α-Al2O3에서는 결과 값이 Intensity 순으로 2.085, 2.553, 1.601, 3.483, 1.740에 ICDD카드 값은 2.085, 2.552, 1.601, 3.479, 1.740이었고, (TiO2)6T에서는 결과 값이 Intensity 순으로 3.251, 1.688, 2.489, 2.188, 1.625에 ICDD카드 값은 3.247, 1.687, 2.487, 2.188, 1.623이었다. 위의 결과처럼 오차 범위가 0.001에서 0.01이내 인 것으로 보아 우리가 실행한 정성 분석 방법이 비교적 정확한 성분 분석이 행해졌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가 확인한 우리 시료의 카드가 신뢰성이 높음을 증명해주는 ★표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XRD그래프, 그래프와 카드의 비교 분석 또한 정확히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다. 이 실험을 통해 XRD 분석법 어느 정도의 성분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고, XRD 그래프를 ICDD카드와 비교하여 시료를 찾아내는 방법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오차가 전혀 없지는 않았다. 혼합물의 XRD 분석에 있어서 각각의 시료가 혼합된 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그 시료에 대한 Peak만이 더 강하고 정확하게 나오고 그렇지 못한 시료의 Peak는 정확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자료
· 재료시험 및 평가 (배철훈/ITC)
· X선 회절 (B.D.Cullity, S.R.Stock/진샘미디어)
· Power Diffraction File Set 10:Joint Committ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
· Power Diffraction File Set 21:Joint Committ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
· 개인 홈페이지 http://www.softdisc.co.kr/index.html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ditto96/20095851774
·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TiO2
· http://en.wikipedia.org/wiki/Al2O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