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차문화] 생태적 관점에서의 현대 차문화
- 최초 등록일
- 2010.12.12
- 최종 저작일
- 2010.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차 문화의 역사적 고찰을 통한 생태적 관점에서의 현대 차 문화 공간
목차
1. 서론
2. 차 문화 공간에 대한 역사적 고찰
(1)한국의 시대별 차 문화 공간
1)고조선시대
2)삼국시대
①고구려
②백제
③신라
3)고려시대
4)조선시대
(2)한국 중국 일본의 차 문화 공간
1)한국
①한국의 차 문화
②한국의 차 문화 공간
2)중국
①중국의 차 문화
②중국의 차 문화 공간
3)일본
①일본의 차 문화
②일본의 차 문화 공간
3. 생태적 관점에서 본 차 문화 공간
(1) 차 문화 공간의 의의
(2) 생태적 성격으로서의 현대 차 문화 공간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류가 차를 마시기 시작한 것은 기록상으로는 기원전 2천 7백여 년 전의 일이다. 처음부터 음료로 이용되었던 것은 아니나 차가 가진 특유의 맛과 향과 효능, 그리고 편리성 등의 이유로 현재는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마시는 최고의 기호음료가 되었다. 또한 오랜 기간동안 차를 즐겨 애용하면서 사람들의 차에 대한 경향이나 습관이 교합하여 ‘차문화’ 라는 하나의 독특한 문화 영역으로 자리 매김 되었다.김건우, <차 문화 공간의 현대적 해석과 공간조성 연구>, 원광대학교, 2005.
불교의 승려들과 유교의 유생들과 도교의 도학자들은 자기들 나름대로 차 생활을 즐기면서 자기들의 종교사상이나 철학으로 차 정신을 확립시켰으며 법도와 체계를 세워 놓았다. 특히 사원의 승려들은 선사상에 차를 끌어들여 선다일여의 경지로 승화시켰으며, 유학자들은 그들의 윤리의식에 차를 유입하여 다례의식을 제정하였으며, 도가의 사상가들은 자연과 합일하려는 신선사상에 의하여 풍류의 정신세계를 완성하였다.
즉, 물질과 정신이 함께 연계 되어 있으며 자연과 더불어 차 문화 공간에서 삶의 질을 높여왔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차 문화는 시대별로 차의 유래 및 행다법, 차도구, 차의 종류, 차인, 다시 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차 문화 공간에서 구현된 차의 정신은 고조선 시대부터 신선사상에 따른 다도수련이 신라의 화랑으로 이어져 차를 마시며 산천을 소요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풍류정신으로 이어졌으며, 고려시대에는 차가 불교와 더불어 선다일여의 정신으로 꽃을 피웠고 조선시대에는 다례의식을 제정하였으며 선비의 충절과 종교인들에 의해 완성되었다. 그러나 차 문화가 실제로 이루어진 차 문화 공간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참고 자료
김대성, <차문화 유적 답사기>, 1994
김종태, <차의 사학과 문화>, 보림사, 1996
김명배, <다도학>, 학문사, 1993
김명배 역저, <일본의 다도>, 보림사. 1987
이진수, <차의 이해>, 꼬레알리즘, 2006
이진수, <차의 철학>, 꼬레알리즘, 2006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친환경 공간디자인/생태건축 에코 인테리 어, 그린라이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