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브라질 농업의 형성 과정과 발전 및 한국의 대 브라질 농업 관계에 대한 연구
브라질 자연환경과 브라질 농업 현황 등 폭넓은 내용
브라질 농업 전반에 관한 모든것을 다루었음
학사 졸업 논문으로 사용가능
목차
1. 서론
2. 브라질 농업의 형성과정
3. 21세기 브라질 농업과 경제
4. 브라질의 자연환경
5. 브라질 농산물 생산분류
6. 브라질 농업 생산 동향
7. 한-브라질 농산물 무역 현황
8. 결론
본문내용
2010년 9월 대한민국은 배추값 폭등으로 들썩거렸다. 그동안 의식하지 못했던 식량 수급 문제가 이제 한국으로도 확산되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였다. 2008년 신조어였던 애그플래이션은 이제 세계적인 현상을 가리키는 중요한 단어가 되었다.
전체농가의 약 78%가 쌀 생산에 집중하여 쌀 자급률이 100%를 상회하지만 다른 곡물 자급률은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경작조건이 악화되거나 국제 곡물가가 상승하면 곧바로 소비자 물가가 급등하는 등 외부효과에 비정상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보여줘왔다. 게다가 석유 보존량이 크게 줄어들고, 중국의 중산층 성장에 따른 연료 소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새롭게 등장한 바이오에너지는 원료가 되는 해당 작물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쌀 자급률만 100%를 웃돌 뿐, 밀과 옥수수를 비롯한 대부분의 농산물을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는데, 공급은 늘리기가 여의치 않다. 게다가 미국 등의 금리 인하로 인해 국제 투기 자금이 곡물과 원자재 투자로 몰린 점이나 다국적 기업들이 시장을 대부분 차지하는 것 또한 곡물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이제까지 대한민국의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어온 것이 원유 가격 이었다면, 이제는 농산물도 크게 한몫 하고 있음에 틀림 없다.
농업에 사용될 토지는 한정되어있고, 주식인 쌀농사를 포기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어차피 농산물을 수입해야 한다면, 가급적 다양하고 품질이 좋은 공급처를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직접 투자를 통하여 생산지를 확대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이제 공급처가 ‘어디’ 이냐 하는 것이 가장 큰 화두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Eduardo Paulon Girardi, “Proposicap teorico-metodologica de uma Cartografia Geografica e sua aplicacao no desenvolvimento do Atlas da Questao Agraria Brasileira”, 200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0”,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브라질 농업과 무역 동향” , 200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브라질, 농업개황”, 2005.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 경제동향”,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2010.9
조은기, “농촌불패, 농업이 미래다.”, 2009
매일경제 아그리젠토 코리아 프로젝트 팀, “아그리젠토 코리아, 첨단농업 부국의 길”, 2010
윤택동, “브라질 에탄올 산업 I”, 중남미 연구 제28권1호, 2009
최영수, “브라질사”, 2010
Brazilian Embassy, “Agriculture, Mining and Oil in Brazil”, 197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