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러지란 개념은 1906년 clemens Freiherrvon Pirguet 가 "Allergie"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사용하였으며 알러지란 그리스어의 Allos(Change, 변하다)와 ergo(action, 작용, 능력)의 합성어로 생체의 변화된 반응능력을 뜻하는 말로, 면역반응에 의하여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생리적 반응을 가리킨다.3) 이러한 알러지성 질환은 최근들어 화학공업의 발달로 각종 인공물질이 우리 생활 주변에 범람하면서 증가하고 있는데, 이중 문제가 되는 것중 하나가 알러지성 천식이다.2)
기관지 천식은 발작성인 호흡곤란, 천명, 기침, 罷音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서 1960년 미국 흉부질환학회에서 "천식은 여러가지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며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한 임상증상이 자연히 혹은 치료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호전되는 질환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천식의 원인에 대해서 알러지, 감염, 일상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인성생리반응, 공기오염, 자율신경실조 등의 설이 있으나, 대부분 알러지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
참고자료
· 1) 천식의 침구치료에 대한 문헌적 고찰, 洪權義·蔡禹錫, 針灸學會志, 第四卷 第二號, P.130.131.132
· 2) 알레르기성 천식에 관한 문헌적 고찰(동서의학적 비교고찰), 吉村氷星·黃義玉·鄭昇杞·李珩九, 대한한의학회지, Vol.11, No.1, April, 1990, 대한한의사협회 , p. 39,40,58,59
· 3) 알레르기 질환의 한방요법(천식을 중심으로), 鄭昇杞, 대한한의학회지, Vol.11, No.2, April, 1990, 대한한의사협회, p.11.12
· 4) 동의보감, 허준, 법인문화사, p. 1229,1231,1234.1235,1241
· 5) 알레르기와 한방, 鄭奎萬, 圖書出版 第一路, p,183,185,190,191,217,218,21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