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림유사
(1) 편찬
중국 송(송)나라 외교관(송대에 고려국 신서장관(신서장관)으로 왔었음)인 손목(손목)이 12세기 초(1103-1104)에 편찬한 견문록과 어휘집 형식의 백과서이다. 지은이가 고려 숙종 8년(1103)경 신서장관으로 고려에 다녀간 뒤 자기가 직접 듣고 익힌 고려의 토속과 언어 356항(순치판, 1647)을 가려 한(한)·한대역 어휘집(한대역어휘집)으로 엮은 것이다.
(2) 전래
본래 『계림유사』는 3권으로 토풍·조제·방언의 3부와 부록의 표문집으로 되어 있던 것인데,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으며, 명(명)나라 때 편찬된 설부(백과사전과 비슷한 총서)의 한 편으로 끼어서 전해오는 것으로 방언부와 토풍, 조제의 일부분이다. 또, 청(청)나라 세종 때 편찬된『고금도서집성(고금도서집성)』(1726)과『순치판설부(순치판설부)』(1647),『민국판설부(민국판설부)』(1928)속에도 끼여 있는데, 판본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다. '역어(역어)' 부분도 판본에 따라 어휘배열 체제가 다르나 대부분은 '방언'이라고 작은 제목을 쓴 밑에 '천왈한날(천왈한날)'로 시작하여 '천왈이저(천왈니저)'로 마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