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석헌의 생애와 사상
- 최초 등록일
- 2010.12.06
- 최종 저작일
- 2010.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함석헌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요약하고 생각을 밝힌 레포트입니다.
목차
1.서론
2. 함석헌은 누구이고 우리는 왜 그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3. 씨 사상이란?
1)‘씨’이라는 말을 통해 김경재, 함석헌의 씨 사상 연구, 요약정리
2)씨사상의 특징
4.맺음말
본문내용
넷째, ‘씨’이라는 이름은 생명의 생동성을 상징한다.
살이있는 생명은 고정되어 있는 정태적 물건이 아니고 끊임없이 자라고 변화하는 동태적인 것이다. 씨앗이나 알은 가만히 있는 듯해도 숨쉬고 있다. 완전 밀폐된 그릇 속에서 씨앗과 알은 죽고 만다. 씨앗이 흙에 묻혀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얻으면, 곧 싹이 트는 운동을 개시한다. 알이 어미 닭 품에 안기면 달걀 안에는 놀라운 기적활동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자연과의 관계속에서 생동하기 시작한다.
씨은 그러므로 숨을 못 쉬게 하고, 고정된 틀에 생명을 붙잡아 매려는 온갖 제도절대주의, 형식절대주의, 권위절대주의에 저항한다. 씨사상 자체도 이즘-ism에 저항한다. 씨사상도 살아 숨쉬는 그 무엇이지 씨주의가 되면 그 순간 죽은 것이다. 민주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과학주의, 성전율법주의, 기독교교리 절대주의 등 온갖 주의를 절대화 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삶과 생명은 창조적 과정, 생동적 변화 속에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씨이란는 이름은 존재론적인 생명의 관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씨이라는 개체는 전체를 그 속에 내포하고 있는 완결된 자기원인적 실체라기 보다는 전체와의 관계성 속에서 그 개체성을 얻는다. 하나님 없이는 씨 없다. 사회 생명 전체 없이는 씨 개체 생명이 없다. 역사의식 없이는 씨의식도 없다고 축약 할 수 있다.
나무나 잡초는 혼자 있을 때는 한없이 약하다. 그러나 숲을 이루면 능히 홍수를 막아낸다. 씨은 민중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집단적․사회적 개념을 포괄하면서 그 뿌리를 존재론적인 차원에까지 내려 뿌리를 내린다. “‘’자의 「ㅇ」은 근대 혹은 초월적 하늘을 표시하는 것이고 「․」은 극소 혹은 내재적인 하늘 곧 자아를 표시한다”고 함석헌은 말했다. 이는 곧 씨은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만 개체가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