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말하길 석창포는 간허의 심복통을 주관하며, 곽란, 전근을 치료하며 복량과 전근을 소멸시키며 심과 비의 담습을 잘 통하게 함을 알 수 있다.
<千金>治胎動不安, 半產漏下, 或搶心下血, 及產後崩中不止, 並以菖蒲一味煎服, 皆取辛能開竅, 血氣安養之意。
천금방에서는 태동으로 불안하며 유산과 붕루와 심에 통증이 이르며 하혈함과 산후의 붕루가 그치지 않음을 치료함에 석창포 일미를 달여 복용하면 모두 신미로 구멍을 열고 혈기는 편안하게 길러지는 뜻이 있다.
觀此菖蒲實爲宣氣通竅之劑。
이 석창포를 보면 실제로 기를 펴고 구멍을 통하게 하는 약재이다.
故在楊士瀛亦謂噤口下痢, 可用石菖蒲加於參苓白朮散內以開其胸, 則其義益著。
그래서 양사영도 또한 금구하리를 말하길 석창포를 사용하여 삼령백출산안에 넣어서 가슴을 열면 뜻이 더욱 현저하다고 했다.
(楊士瀛曰:下痢噤口, 雖是脾虛, 亦熱氣閉隔心胸所致。俗用木香失之溫, 用山藥失之閉, 惟參苓白朮散加石菖蒲, 粳米飲調下, 或用參, 苓, 石蓮肉少入菖蒲服, 胸次一開, 自然思食。)
양사영이 말하길 하리 금구에 비록 비허가 있어도 또한 열기가 심흉을 닫아 막아서 그렇다. 속칭 목향을 잘못 온성을 사용하며 산약을 사용하여 닫지 못하며 오직 삼령백출산에 석창포, 멥쌀을 넣어서 조복하거나 혹은 인삼, 복령, 석련육을 조금 석창포에 넣어 복용하면 한번 열리면 자연 음식을 먹을 생각이 있다.
但陽亢陰虛, 嫠寡失合者禁用, 以其能動心包之火耳!
단지 양이 항성하고 음이 허하며 과부에는 실수로 사용금지이니 심포의 화를 동요하기 때문이다!
取一寸九節紫花根瘦者佳。
1촌에 9마디에 자색 꽃의 뿌리에 마른 석창포가 좋다.
去皮, 微炒用。
석창포는 껍질을 제거하고 약간 볶아서 사용한다.
秦艽爲使, 惡麻黃。
진교가 상사가 되며 마황과 상오한다.
忌飴糖, 羊肉, 鐵器。
석창포는 이당, 양고기, 철그릇을 금기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