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시대 지방제도에 대해 올려 놓았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여말 선초의 지방통치체제의 특징
Ⅲ. 조선의 지방제도정비
1. 8도 체제의 정비
2. 군현의 정비
Ⅳ.지방제도의 관리체제
1.관찰사
2.지방수령
3.향리
4. 면 · 이 · 통 설치
5. 특수행정구역
Ⅴ.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조선조 역대 지방통치방식은 당(唐),송(宋)의 군현제를 지방통치의 기본방식으로 기틀을 잡고 그 위에서 고려의 군현제를 보다 합리적인 방향으로 개혁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15세기에 들어와서 획기적으로 개혁되었는데 고려의 이원적인 도제(道制)가 조선으로 넘어와서는 일원적인 8도체제로 정비되고, 모든 군, 현에 지방관이 파견되어 속현(屬縣)과 향(鄕·)소(所)·부곡(部曲)·처(處)·장(莊)등 임내(任內)의 정리, 소현의 병합, 군현 명칭의 개정 등을 단행하였고, 도 아래는 부, 목, 군, 현을 두고 그 밑에 면, 이 를 두었다. 그리고 중앙정치체제의 6조를 본따서 각 지방관아에 6방을 설치하여 체제를 강화하였다. 이수건 「조선전기 지방통치와 향촌사회」,『대구사학』37, 1989 pp262~286.
훈척(勳戚)과 관직에 일차적인 세력기반을 두고 막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있던 서울의 훈구세력들은 군현제(郡縣制)와 경재소(京在所), 유향소(留鄕所) 및 향사제(鄕使制), 면리제(面里制)와 같은 향읍 또는 향촌 통치체제를 관권 주도형으로 운영하려 하였다. 이에 반해, 사회·경제적 기반을 일차로 향촌에 둔 사림은 재지사족 주도형으로 운영하려 하였다.
왕을 중심으로 경관직과 외관직을 두고 외관직에 각 8도를 감사하는 감찰사를 두고 그 밑에 부, 목, 군, 현을 두어, 각기의 수령이 지방을 관리하였다.
그리고 밑에 면, 리, 통을 두어 지방의 향리의 지배가 약화되면서 사족 또는 민서(民庶) 출신의 권농관 내지 감고(監考), 면장이 면리 단위의 행정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지방행정기구의 변화와, 지방통치체제 및 기구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초기의 정치구조」,『한국사』23권, 탐구당문화사 1994
·변태섭 『韓國史通論』, 삼영사 2010
·한충희 『조선초기의 정치제도와 정치』, 개명대학교출판부 2006
·장국종 『조선정치제도사』, 한국문화사 1998
·이수건 「조선전기 지방통치와 향촌사회」,『대구사학』37, 1989
·김동수 「조선초기 군현체제의 개편」,『전남사학』, 1992
·이상태 「조선시대 군현의 변천」,『실학사상연구』3, 1992
·이동전 「조선초기 수령제도 연구」, 『사학지』21,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