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수필에 대해 여러 참고문헌과
제 생각까지 곁들여 잘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후회하지 않으실겁니다
목차
<수필의 개념>
<고전수필의 범위>
<고전수필의 전통>
<고전수필의 분류>
<고전수필의 흐름>
1.삼국시대의 수필
2.고려시대의 수필
3.조선조의 수필
<고전수필의 특징>
본문내용
중.고등학교 때부터 항상 들어오던 수필의 개념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 역시 이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11가지 수필 관련 서적을 읽다보니 이제 수필의 개념, 기원 정도는 외울 수도 있을 듯 하다.
수필의 개념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된 말은 '붓 가는 대로 쓴 글' 이라는 말이었다. 물론 이것은 수필이란 용어가 붙은 최초의 저술인 <容齊隨筆>을 쓴 남송 때 정치가요 학자였던 洪邁(1123~1202)의 말을 인용한 것으로 수필의 특징을 가장 단적으로 표현한 문장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참고 문헌▶
●한국문학개설, 한국문학 편찬위원회, 형설출판사, 1980
●한국수필문학신강, 최강현 저, 서광학술자료사, 1994
●한국문학총설, 두장구, 박대복, 강중탁, 문제 공저, 도서출판 한누리, 1994
●한국 고전문학의 세계, 김재환, 이연숙 편저, 세종출판사, 1997
●한국 문학 앤솔러지 (1), 김희보 지음, 가람기획, 1999
●국문학 개론, 김준영 저, 형설출판사, 1992
●한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경인문화사, 1996
●한국 고전문학사, 김규태 저, 예문관, 1986
●국문학신강, 국문학신강 편찬위원회, 새문사, 1985
●한국문학개론, 인권환, 임기중 편저, 혜진서관, 1991
●수필문학의 이해, 윤모촌 지음, 미리내,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