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훈의 가사에 대한 분석 레포트 입니다. A+ 자료!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훈의 생애 및 시대적 배경
Ⅲ. 정훈의 사상
Ⅳ. <성주중흥가>
Ⅴ. <탄궁가>, <우활가>
Ⅵ. <용추유영가>, <수남방옹가>
Ⅶ.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수남방옹 정훈은 그와 동시대에 활동했고 작품이 전해지는 박인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알려지고 연구되었다. 같은 국문가사의 창작자라는 점과 비슷한 시대라는 이유로 박인로와의 비교하는 연구와 박인로보다 정훈의 가사 작품이 탁월하다는 논의가 있었으며 정훈 개인에 대해 더 집중한 논의에서는 전해지는 가사 - <성주중흥가>, <용추유영가>, <수남방옹가>, <탄궁가>, <우활가> -에서 작가의 의식을 비춰보기 시작했다.
<성주중흥가>는 정훈의 가사 중 유일하게 정치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이에 대해서 유교적 이념에 깊이 빠진 17세기 사대부로 나타나며 <탄궁가>와 <우활가>에 나타나는 빈곤의 모습을 연관시켜 현실에 좌절하는 인물로 파악했다. 빈곤과 핍진한 상황을 나타낸 <탄궁가>와 <우활가>에 대해서 연구의 초기에는 정훈이 일반적인 몰락향반으로 인식됐지만 정훈의 우활의식에 대한 연구와 17세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서 작가의식을 도출해내는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몰락향반에서 벗어나 정치적, 경제적으로 몰락해버린 한미한 사족이라는 가정을 벗어났다. <용추유영가>와 <수남방옹가>에 대해서도 자연 앞에서 자신의 현실처지를 인식하고 출사의지의 좌절 정서를 형상화 했다고 보는 관점이 있다.
이처럼 정훈에 대한 연구가 정훈 개인의 환경에 대해서는 몰락향반이라는 가정에서 벗어났지만, 몰락향반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 정훈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오선주(2008) 이외에는 현실에 좌절하고 출사의지가 막힌 것을 안타까워하는 인물로만 인식되고 있다. 본 발제에서는 한미한 사족에서 벗어난 정훈을 통해서 현실에 좌절하고 회한만 하고 있는 향반이 아닌 자신의 처지에 대해서 올바로 인식하고 자신만의 현실참여의지를 실현시킨 인물이라 규정하고 그에 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 자료
나병호, 정훈의 시가 연구 - 박인로와 대비를 중심으로, 한남어문학 15집, 1989
하성래, 가사문학의 새 거봉, 문학사상 8호, 문학사상사, 1973
이승남, 정훈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 <성주중흥가>, <탄궁가>, <우활가>를 중심으로, 한국 사상문화학회, 2008
류속영, 정훈 문학의 현실적 토대와 작가의식, 문창어문학회, 국어국문학지, 1998
이승남,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 - 정훈의 <용추유영가>와 <수남방옹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우리 어문 연구 2007
오선주, 정훈의 우활의식에 대한 재고, 한국고시가문학회, 고시가연구, 2008
최상은, 정훈 가사에 나타난 가문의식과 문학적 형상,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2004
나정순, 17세기 초의 사상적 배경과 정훈의 시조, 한국시조학회, 시조학논총, 2007
이상원, 정훈시조연구, <가장행적> 발췌,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1997
박상영, 정훈 시조의 구조적 특질과 그 미학적 의미, 한국시조학회, 시조학논총, 2008
한국역대인물종합시스템 - http://people.aks.ac.kr/
이상보, ≪17세기 가사전집≫, 교학연구사, 1978
이상원, 「사족층의 문화와 정훈의 시가」『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시각』,보고사, 2004
최현재, ≪조선 중기 재지 사족의 현실 인식과 시가문학≫, 선인, 2006
강경호, 정훈시가에 반영된 현실인식과 문학적 형상,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2006
이정륜,「정훈의 시가 연구 」,1992,
조원래,「16세기초 호남사림의 형성과 사림정신」(『금호문화』, 1989년 8월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