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Coex Mall의 문화적 측면에 대한 평가
1) 대중문화적 측면에서 바라본 Coex Mall
2) 복합 소비문화공간으로서의 Coex Mall
5. Coex Mall의 개선해야할 점
1)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쇼핑몰로 거듭나기 위해서 해야 할 3가지
2) 소비자를 배려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3) 참신한 소재를 찾아라!
본문내용
1. 지난 10년간의 Coex Mall
우리나라 쇼핑몰의 원조 격인 서울 강남구 삼성동 Coex Mall은 2000년 5월 3일 개장했다. 올해로 개장한지 10주년이 된 것이다.
Coex Mall은 서울 강남의 중심지인 삼성역과 이어진 교통 요지인 데다 주변에 특급호텔과 백화점, 대기업 등이 밀집한 국내 최대 상권으로 아시아에서도 최대 복합쇼핑몰로 꼽힌다. 면적이 29만2000㎡로 축구장 40개와 맞먹는 Coex Mall에는 현재 461개 점포가 입점해있고, 하루 유동인구가 10만~15만 명에 달한다. Coex Mall 측은 "연간 평균 방문객이 5000만 명으로 지난 10년간 5억 명이 이곳을 찾았다"고 추산했다. 단일 매장으론 가장 큰 임대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복합영화관 Mega Box에는 지난 10년간 5000만 명이 찾아 전국 영화관 가운데 입장객 순위 1등을 한 번도 뺏긴 적이 없었다. 개관 이래 팝콘 1300만개, 콜라 1200만개가 팔려나갔다. 수족관 아쿠아리움은 Coex Mall이
개장한 이틀 뒤인 2000년 어린이날(5월5일)에 줄이 850m까지 이어진 적도 있었다. 이 수족관은 10년간 물고기 250만 마리가 선보였으며 어린이 관람객 수만 250만 명에 이른다. 아쿠아리움의 명물인 상어는 10년간 사료 73t를 먹어치웠다. Coex Mall 중앙에 있는 애반 레코드는 10년간 음반 400만장을 판매했고, 서울문고의 서적 판매량은 3천159만5천여 권이다.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날드 Coex Mall점은 10년간 어림잡아 750만 명, 스타벅스엔 최소 300만 명이 찾았다.
Coex Mall은 매출액으로 브랜드별 전국 1, 2위를 달리는 매장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Mega Box뿐만 아니라 프로스펙스 Coex Mall점은 이 회사 전국 매장 중 매출 순위 1위며 나이키와 의류업체 자라의 매장은 전국에서 2위를 기록 중이다. 패스트푸드점 버거킹과 패밀리레스토랑 체인인 우노와 마르쉐의 전국 1위 매장이 Coex Mall에 있고, 스타벅스와 크라제버거 Coex Mall점은 매출 기준으로 전국 2위다.
위와 같은 성과를 보면 Coex Mall은 명실상부한 복합 문화공간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으며, 서울의 ‘랜드 마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의 관광 명소로서 외국인들이 서울에 오면 꼭 한번쯤은 들려봐야 하는 장소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Coex Mall 위에 공원이 조성되어 도시인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도시 공원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