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_철학
- 최초 등록일
- 2010.11.16
- 최종 저작일
- 2010.11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연구(영국 문화연구를 중점으로)
1) 문화의 정의
2) 문화연구의 정의와 배경
3) 문화연구의 특징
4) 문화연구 이론가 및 이론
5) 문화연구의 사례
6) 문화연구의 문제점
2. 문화비평
1) 문화비평의 정의
2) 문화비평의 기능과 목적
3) 문화비평 방법
4) 문화비평의 사례
5) 문화비평의 문제점
Ⅲ. 결론
본문내용
⑥ 정신분석적 비평
20세기 대폭적인 발전을 이룬 프로이트의 심층심리학, 융의 분석심리학 등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발전을 보게 된 비평 방법이다. 이 비평 방법이 중요한 전제로 내세우고 있는 것은 , 작품이 잘 통제된 의식의 산물이 아니라 정체 파악이 어려운 무의식이 인간의 복잡한 심리기제들의 망을 통과하면서 일그러지고 변형된 상태로 결정화된 존재라는 점이다. 이 관점에 의하면 작품은 두 가지의 텍스트를 소유하고 있는 셈이 된다. 표면적 의미와 그 속에 교모하게 비틀린 형태로 은닉되어 있는 이면적 의미가 그것이다. 따라서 정신분석 비평은 작품 속에 교모하게 숨겨져 있는 무의식적 요소, 즉 작가의 속 의도를 제시함으로써 문학 작품이 갖고 있는 심층적 의미 구조를 규명하는데 주력한다.
⑦ 신화. 원형적 비평
19세기에 발전을 보게 된 인류학적 성과, 특히 플이져에 의해 수행된 종교인류학적 연구 성과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프레이져의 연구 성과가 갖고 있는 가치는 , 매우 다양한 것으로 보이는 인류 문화가 사실은 놀라운 집단적 공통성을 그 이면에 갖고 있다는 점을 입증한 점이었다. 인류 문화 속에 담겨 있는 이러한 보편적 이자들을 `원형`이라고 하는데, 신화. 원형 비평가들은 개별 문학 작품들 속에서 이러한 원형들을 추적해내고, 이 원형들을 조직화함으로써 세계 문학이 갖고 있는 공통성의 기반을 체계화하는데 연구의 역점을 둔다.
참고 자료
김채수「문화비평과 과정학」(보고사, 2005) p.295~296
원용진「대중문화의 패러다임」(한나래. 1996) p.16~17
채수「문화비평과 과정학」(보고사,2005) p.297
진기행 「문화연구란 무엇인가?」(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1)
Arthur Asa Berger/ 김기애 옮김.「문화비평 주요 개념의 이해」(한신문화사. 2000) p.3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
Sardar,Ziauddin Loon,Borin Van「문화연구」(김영사. 2002)
김현정「미디어의 발전이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 공연예술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 2008. 2
Arthur Asa Berger/ 김기애 옮김.「문화비평 주요 개념의 이해」(한신문화사. 2000) p.3/p.9
김광길 · 심원섭,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국학자료원, 1997)
정해룡「한국 TV 드라마 비평의 질적 비교 연구 : 비평 관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the TV drama criticisms in Korea : focused on viewpoints of criticism」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언론홍보전공, 2005. 2
김광길 · 심원섭,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국학자료원, 1997)
김광길「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 비평 연구」(京畿大學校 人文大學 人文科學硏究所(KYONGGI UNIVERSITY) .1998)
김채수「문화비평과 과정학」(보고사, 2005) p.307~p.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