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 교육과정 개념 정의
교육과정이란 학생, 교사를 위한 하나의 계획이고 실제 현장에서 검증되어야 하며 비판적 조사에 항상 노출되어야 한다. 의사소통을 위한 하나의 시도이며 최소 코스 설계를 위해 기초를 제공한다. (stenhouse, 1979)
교육과정의 어원은 The curriculum, 라틴어의 currere `달린다`에서 비롯되었고, 달린다는 뜻이 공부한다는 뜻으로 달리는 코스는 일정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일정한 기간에 공부하는 과정을 뜻한다. 교육과정은 좁게는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가르치는 교과내용이고, 넓게는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이 겪는 모든 경험을 포함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에는 교과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 학습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 학습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학습결과로서의 교육과정이 있다.
교육과정은 종합적으로 조직한 교육의 전체 계획이고 시대, 사회변화에 따라 영역, 방법, 대상 등이 변화하며 개연성과 다양성을 지닌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인에는 지식, 학습자, 사회가 있다.
목차
1. 교육과정 개념 정의
2. 교육과정 이론의 특성 설명
3.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 설명
4. 교육과정 모형의 전반적 발전전개
5. 교육과정 철학 4가지 분류
6. 교육과정 철학 3가지 분류 (지록스)
7. 교육과정 사회학에서 애플의 문화적 헤게모니이론
8. 교육과정 사회학에서 번스타인의 교육자율이론
9. 교육과정의 이론적 분류 4가지
10. 교육과정의 실재적 분류 5가지
본문내용
1. 교육과정 개념 정의
교육과정이란 학생, 교사를 위한 하나의 계획이고 실제 현장에서 검증되어야 하며 비판적 조사에 항상 노출되어야 한다. 의사소통을 위한 하나의 시도이며 최소 코스 설계를 위해 기초를 제공한다. (stenhouse, 1979)
교육과정의 어원은 The curriculum, 라틴어의 currere `달린다`에서 비롯되었고, 달린다는 뜻이 공부한다는 뜻으로 달리는 코스는 일정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일정한 기간에 공부하는 과정을 뜻한다. 교육과정은 좁게는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가르치는 교과내용이고, 넓게는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이 겪는 모든 경험을 포함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에는 교과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 학습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 학습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학습결과로서의 교육과정이 있다.
교육과정은 종합적으로 조직한 교육의 전체 계획이고 시대, 사회변화에 따라 영역, 방법, 대상 등이 변화하며 개연성과 다양성을 지닌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인에는 지식, 학습자, 사회가 있다.
2. 교육과정 이론의 특성 설명
교육과정이론은 여러 학문을 접목시킨 응용이론이다. 또한 기술적 이론과 규범적 이론들 중 사람과 사람의 관계(교사와 학습자의 관계)를 나타내므로 규범적 이론에 더 가깝다.
3.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 설명
Tyler는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사회, 학습자, 지식 → 잠정적 목적 → 철학적, 심리적 → 목표 → 내용 → 조직 → 평가로 설명하였다.
목적은 가치-목적-목표-지침-학습자로 구체화되며 상위로 갈수록 추상적, 간접적이고 하위로 갈수록 구체적, 직접적이다. 목적은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목표와 활동 간에 일관성을 준다. 참고 : 행동목표진술(mager) Audience, Behavior, Condition, Degree
내용을 선정한다는 것은 형식적 학교 교육이 시작된 이래 각 학문영역의 독특한 체계, 지식내용, 탐구방법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이루어왔다는 것이고, 학습 경험의 범위는 무엇을 교육과정에 포함하느냐의 문제이다. 내용의 원칙은 ①교육목표와의 일관성, 기회 ②기본개념의 중시 ③탐구학습의 강조 ④지도가능성 ⑤일경험 다목적 달성 ⑥경험의 비중복성 ⑦지역성 고려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