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국어교육)의 개념, 국어과(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어교육)의 가치교육, 국어과(국어교육)와 입말문학, 외국의 자국어교육 사례, 국어과(국어교육)의 지도 방법과 시사점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0.11.08
- 최종 저작일
- 2010.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국어과(국어교육)의 개념, 국어과(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어교육)의 가치교육, 국어과(국어교육)와 입말문학, 외국의 자국어교육 사례, 국어과(국어교육)의 지도 방법과 시사점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국어과(국어교육)의 개념
Ⅲ. 국어과(국어교육)의 특징
1. 도구 교과
2. 사고 교과
3. 가치관 교과
Ⅳ.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Ⅴ. 국어과(국어교육)의 가치교육
Ⅵ. 국어과(국어교육)와 입말문학
Ⅶ. 외국의 자국어교육 사례
1. 목표, 성격
2. 지도 내용 및 체계
Ⅷ. 국어과(국어교육)의 지도 방법
1. 방법
2. 유의점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국어’라는 말은 일본과 대만, 그리고 한국에서만 사용된다. 공교롭게도 과거의 식민모국 일본과 그 식민지인 한국과 대만에서만 이 말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 나라 모두 강한 파시즘적, 전체주의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성을 가진다. ‘국어’라는 말은 또한 ‘국민’이라는 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다시 말하면 국어는 국민의 언어이며 곧 국가의 언어로서 국민과 국가의 정체성을 언어적으로 뒷받침하는 이데올로기 장치인 것이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최소한 지난 80년대까지의 국어교과서만을 보아도 이 점은 명백하다.
지금 우리의 ‘국어’교육은 이러한 전체주의적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는 도구의 자리에서 과연 얼마나 멀어져 있는가? 80년대까지와 같이 노골적으로 파시즘적 군사독재정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거나 삶의 실상과 유리된 언어와 문학을 가르치는 것에서는 어느 정도 해방되었을지는 모르나, 지금까지도 ‘국민’을 훈육하는 민족주의나 국가주의적 목적의식으로부터 제대로 놓여나 ‘국민’이 아닌 하나의 인간, 하나의 성숙한 시민을 길러내는 언어, 문학 교육과정으로서 자리 잡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쩌면 그러한 언어, 문학 교육과정은 우선 ‘국어’라는 말부터 폐기하고 궁극적으로는 지금과 같은 ‘국어’교육이 해체되는 것에서 비로소 온전히 시작될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국민’이라는 말, ‘국어’라는 말은 자명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자명성은 국가이데올로기로부터 주어진다. ‘국민적 의무’, ‘국민 된 도리’ 등의 말 속에 개인을 억압하고 끝없이 국가의 영역으로 호출해 내는 어떤 강제력이 잠재되어 있듯이, ‘국어’라는 말에도 훼손되어서도 안 되고 의문시 되어서도 안 되며 단지 숭앙되고 추종되어야 하는 어떤 권위적이고 경직된 ‘순수한’ 핵심 같은 것이 단단하고 또 강압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 최고의 표음문자 한글’, ‘아름답고 순수한 우리말’, ‘우리말 바로 쓰기’, ‘오염된 우리말’ 등등의 말에서 보듯 ‘국어’라는 말 자체에 경직된 순수주의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는 ‘국어’교육에도 그대로 전달된다. ‘국민’, ‘국어’라는 말에 내장되어 있는 이러한 완강한 자기동일성은 당연히 그와 성격을 달리 하는 타자들을 억압하고 배제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구체적으로 국어교육의 현장에서 실행된다. 표준어 또는 맞춤법이 지닌 완강한 배타성, 그리고 그 완강한 배타성의 경전적 고착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교과서의 선험적 무류성을 통해, 그리고 국어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그 기계적 반복학습을 통해 그 억압과 배제는 일상적으로 재생산된다.
참고 자료
김대행(1998), 매체언어교육론 서설, 국어교육 ‘97,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고창식(1976), 신국어교육론, 서울 : 교학사
박붕배(1989), 세계의 자국교육정책, 개문사
박태윤(1960), 국어교육지도론, 서울 : 서울 고시학회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편(1999),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최현섭(1996), 국어교육학개론, 서울 : 삼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