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품사 조사, 국어 품사 주격조사, 국어 품사 접속사의 오용 사례, 일본어 품사 접속사, 일본어 품사 병립조사 분석(조사, 주격조사, 접속사, 병립조사, 국어 품사, 일본어 품사, 품사, 국어, 일본어)
- 최초 등록일
- 2010.11.08
- 최종 저작일
- 2010.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국어 품사 조사, 국어 품사 주격조사, 국어 품사 접속사의 오용 사례, 일본어 품사 접속사, 일본어 품사 병립조사 분석
목차
Ⅰ. 국어 품사 조사
Ⅱ. 국어 품사 주격조사
Ⅲ. 국어 품사 접속사의 오용 사례
Ⅳ. 일본어 품사 접속사
1. 부조사 か
2. 격조사 が
3. ~かどうか
4. から
5. たって(접속조사)
6. だって(부조사)
7. で
8. と
9. なんて
10. に
11. は
12. も
Ⅴ. 일본어 품사 병립조사
1. 「と」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と」의 의미․용법
2) 「と」의 세트결합방식
2. 「か」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か」의 의미․용법
2) 「か」의 세트결합방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 품사 조사
국어의 문장은 명사에는 조사가 연결되고 동사에는 어미가 붙어 구성된다. 조사에는 격조사 이외에 특수조사가 있으며, 동사에 붙는 어미에는 시제, 존대법, 피동법, 사동법 등을 구성하는 어미도 있다.
그리고 문장을 연결하거나 종결하는 기능을 지닌 어미도 있는데, 이러한 조사와 어미의 쓰임이 바르지 못한 경우도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비문법적인 문장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불필요한 조사가 첨가된다든지 조사가 잘못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1) a. 일본과의 수교를 할 의향을 갖고 있는데 → 일본과
b. 비좁은 화장실에는 일을 보려는 사람들로 10여m나 늘어서 있다. → 사람들이
c. 만약 레이저 프린터를 구입한다면 호환성은 뛰어난 HP 기종을 권하고 싶다. → 호환성이
(1a)에서는 조사 `의`가 불필요하게 첨가되었고, (b)에서는 `사람들`은 `늘어서 있다`의 주어인데 주격조사가 사용되지 않았다. 특수조사 `-은`은 `대조`, `화제 표시`의 기능을 지니는데 (1c)의 `호환성`은 이러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다. (1)의 조사를 화살표 오른쪽과 같이 써서 바른 문장을 구성해야 한다.
다음의 (2)에서는 접속어미와 종결어미가 잘못 쓰이고 있다.
(2) a. 아버지의 손을 잡고 상경한 서울은 수도로서의 위풍을 갖추고 어린 소년을 주눅들게 하기에 충분했다.
→ 갖추고 있어
b. 일손을 구하지 못해 콤바인을 빌려 쓰고 있으며 콤바인 사용료도 40%나 올라 어려움이 많다.
→ 있는데
(3) a. 올해도 건강하세요. → 올해도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b. 올 한해 더욱 행복하세요. → 올 한해 더욱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4) 목돈을 마련하기에 알맞은 예금 → 알맞은
접속어미 `-고`는 (2)의 선행 문장과 후행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충분히 나타내 주지 못한다. 오른쪽과 같이 고쳐 쓰면 사건 사이의 관계가 분명해진다.
참고 자료
김태엽(2001) : 주격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