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의 교원양성제도
- 최초 등록일
- 2010.11.07
- 최종 저작일
- 2010.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중국과 일본의 교원양성제도
목차
Ⅰ. 서론 ……………………………………………………………1
Ⅱ. 중국의 교사 양성 교육 ………………………………1~5
1. 중국의 교원 양성 교육
2. 교원양성제도
Ⅲ. 일본의 교사 양성 교육 ………………………………5~8
1. 일본의 교원 양성 교육
2. 교원양성제도
Ⅳ. 일본과 중국의 교사 양성 교육 비교 …………9
Ⅴ. 결론 ……………………………………………………………9~10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 날 국가교육사업에서 교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육의 질 향상을 논의함에 있어서 우수한 교사의 확보가 핵심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우수교사 확보를 위한 교원정책의 개혁이 오래 전부터 논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교원양성정책의 개혁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1990년대 중반이후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현행 교원양성체제가 유지되면서, 창의성과 사고력 향상에 기초를 둔 교육활동을 기대하기가 불가능해졌으며,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교원의 전문성도 확립하기가 어려워졌다. 최근에는 학교교육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따가운 질책과 함께 교원양성대학의 중추기관인 교대와 사범대의 개편에 관한 논의가 일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제주교대와 제주대가 통합하기도 했으나, 교원양성대학의 개편은 수많은 이해집단이 관련되어 있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교․사대의 개편을 통한 새로운 교원양성체제의 마련은 힘든 일이므로 현행 제도의 수정․보완이 더 효율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선진국인 중국과 일본의 교사 양성 교육에 대해 파악하여 우리나라 교원양성체제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 교원양성체제를 수정․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Ⅱ. 중국의 교사 양성 교육
1. 중국의 교원 양성 교육
(1) 초등교원 양성교육
- 중국은 <교사법(敎師法)> 11조에 초등교사가 되려는 자는 중등사범학교 졸업이나 그 이상의 학력을 갖추어야 함을 명시
- 대부분 중등사범학교에서 배출
- 3년제 중등사범학교의 교육내용은 <3년제중등사범학교교학방안(三年制中等師範學校敎學方案)>에 따라 전체 학업과정은 156주이며 사회활동 3주로 구성
- 필수과목은 교학활동의 중심으로 학생들이 품덕, 지력, 체질 등에서 고루 발전할 수 있게 초등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을 가르침
참고 자료
교원양성 및 임용의 다양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한국과 중국의 교원정책 및 대학생 교직관 비교연구 : 초·중등 교원을 중심으로, 김선희, 연세대대학원, 2000
현대 중국 교육의 심층적 이해, 구자억, 서울 : 문음사, 1998
중국의 교육, 구자억, 서울 : 원미사, 1999
세계의 학교교육과 교사양성교육, 경상대 사범대학 중등교육연구소, 교육과학사, 2000
중국의 교원임용체제와 양성과정, 구자억, 한국교육개발원, 2002
중국의 교육현황 및 발전과제, 이경자,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원 양성제도의 비교연구, 이건인, 원광대대학원, 2009
교원자격 및 양성에 관한 법령 제정방안 연구, 조석훈, 교육인적자원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