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만들어 오늘날에도 쓰고 있는 문자. 은허에서 출토된 기원전 15세기경의 갑골 문자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이며, 현재 알려져 있는 글자 수는 약 5만에 이르는데 실제로 쓰이는 것은 5,000자 정도이다. 비슷한 말 : 당문자ㆍ한문자
2. 한자의 수
한자는 "상용자(常用字)" 와 "비상용자(非常用字)"로 구분을 하고, 이중 상용자는 약 9,098개 정도이다.
즉 평상시에 일반 백성들이 방송, 언론, 신문, 담화 중 에서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중국문자들이다.
자연과학, 스포츠, 에너지, 군사, 오디오, 음악, 미용 등 전문적인 용어인 "비상용자"는 약 30,330개 정도이다.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으나 그 동안 발간되었던 자전에 나오는 수에 의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 BC 1500년 갑골문자(甲骨文字) : 약 4000 자
● 100년 설문해자(說文解字) : 9,353 자
- 동한(東漢)의 허신(許愼)이 화제(和帝) 때인 100년에 완성한 한자해설집
● 543년 옥편(玉篇) : 약 19600 자
- 양(梁)나라 남조(南朝) 고야왕(顧野王)이 엮음
● 1716년 강희자전(康熙字典) : 47,035 자
- 청(淸)나라 때의 성조(聖祖) 강희제(康熙帝)의 칙명으로 역음
● 1914년 중화대자전(中華大字典) : 48,200 자
● 1973년 중문대자전(中文大字典) : 49,905 자
● 1986년 한어대자전(漢語大字典) : 54,665 자
● 1994년 중화자해(中華字海) : 87,019 자
● 베이징(北京) 궈안(國安)자문설비공사의 한자뱅크 : 91,251자
3. 나라별 필수 한자
현재 각 나라에서는 이중 필수 한자로 지정하여 학교에서 배우고 있다.
각 나라 별 필수 한자 수는 다음과 같다.
● 한국 : 1,800자(중학교 900자, 고등학교 900자)
● 북한 : 1,500 자
참고자료
· [출처] 국제표준한자대자전(國際標準漢字大字典)
· 네이버 어학사전
· UCHRONIA : CRPS-RSD egloos.com
· 인터넷 카페 : 지혜한자방(智慧漢字房)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