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 자료들은 최고를 자부합니다...!!!
지난 학기에 고전문학 저공에서 A플러스를 받은 발표 원문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원문과 관련설화
3. 작자에 대한 논의
4. 원문의 해석
5. 시적 구조의 역동적 교신
6. 나오면서
본문내용
「願往生歌」는 향가 25수 가운데 균여의 보원십원가와 그 밖의 몇 수의 노래와 함께 그 사상적 배경이 확실한 노래이다. 사상적 배경이 확실하다는 것은 어학적 해독이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는 현실에서 문학적 연구를 위한 또 다른 시각을 열어주며, 문학적 해석의 길잡이가 되어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 작품 또한 『三國遺事』에 실려있는 다른 향가들과 마찬가지로 산문기록을 종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향가를 해석함에 있어서, 접맥되어 있는 산문기록은 향가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원왕생가」의 경우에는 접맥되어 있는 산문기록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다시 말하면 광덕과 엄장이라는 두 인물의 왕생설화에 이어 첨기되어 있는 향가, 즉 「원왕생가」의 배경설화로 보기에는 석연치 않다는 것이다. 『三國遺事』에 수록된 대부분의 향가 작품들은 동반하고 있는 산문기록, 즉 설화 속의 인물들과 관련지어져 기술됨으로써 작자와 저작경위 등이 분명히 드러나는 것이 보통인 데 반해, 「원왕생가」와 「광덕 엄장」의 왕생설화의 관계는 그렇지 못하다.
참고 자료
삼국유사 향가연구, 양희철, 1997, 태학사
신라가요의 기반과 작품의 이해, 반교문학회편, 1998, 보고사
한국고전시가 작품론, 강혜선,집문당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정병욱, 1992, 집문당
한국문학통사1, 조동일, 1994, 지식산업사
한국 고시가, 최용수, 1996, 태학사
한국의 고전 시가 해석과 감상, 김윤완·이장희, 1995, 글벗사
향가의 해석, 신재홍, 2000, 집문당
향가 연구, 국어국문학회편, 태학사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황패강, 일지사
향가 연구, 정렬모, 1999,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