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제조와 균주배양법
- 최초 등록일
- 2010.10.28
- 최종 저작일
- 2006.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배지제조와 균주배양법
목차
< 배지제조 >
♣배지
♣배지제조
♣배지내 첨가물
<균주배양법>
♣배양
-고체배양
-액체배양
< 균주보존 >
1. 계대 보존법
2. 파라핀 증충법
3. 현탁 보존법
4. 담체 보존법
5. 동결 건조법
6. 냉동 보존법
7. 건조 보존법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배지내 첨가물
펩톤, 단백질, hydrolysates, 주입물과 추출물들은 배양 배지의 질소와 비타민의 주요 자원이다. 펩톤들은 단백질로부터 수소분해나 소화에 의해 만들어진 물에 녹는 물질이다. 탄화수소는 배양배지의 에너지 자원들이나 종들을 분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완충액은 배지의 pH를 유지한다. 선택적 약물은 담즙, 색소, 그리고 항미생물 약물을 포함한다. 담즙과 desoxycholate는 그람 양성 구균을 억제하여 그람 음성 미생물들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킨다. 색소와 지시약들은 감별 준비와 선택적 배양 배지를 위해 필요하다. 이 때 색소는 정균 약물로 작용하며, 기질의 산도나 염기도 변화의 지침이 된다. 항미생물 약제는 박테리아와 이스트, 진균의 성장을 방해하는데 사용된다. 아가나 젤라틴, 알부민을 포함한 고체화시키는 약제는 액체 배지에 굳기를 변화시켜 고체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균주배양법>
♣배양
배양이라는 것은 인공적인 환경에서 미생물을 증식하는 것이고, 미생물 연구 혹은 생물 산업에 있어서 어떤 경우에도 불가피한 조작이다. 배양을 목적에 따라 생각해 보면, 미생물의 분류, 동정을 하기 위한 경우와 미생물의 생리, 생화학적 연구 또는 생산물을 얻기 위한 경우의 배양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분류, 동정하기 위한 배양은 이미 확립된 기존의 방법을 충실히 지킬 필요가 있으나, 후자의 경우에는 각각 목적에 따라 적당한 조건을 강구해야 한다. 배양은 배지 상태에 따라 고체배양 혹은 액체배양으로 나눈다. 고체 배양은 미생물의 보존과 관찰에 사용되는 사면배양, 평판배양등이 있다. 액체 배양은 용기에 따라 시험관배양, 플라스크배양, 밢효조 배양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배지의 특성에 따라 합성배지와 복합배지로 나눈다.
-고체배양
고체배양은 takadiastase의 제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곰팡이의 효소생산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현재에도 takadiastase를 비롯하여 Rhizopus에 의한 glucoamylase, Aspergillus niger에 의한 cellulase 및 hemicellulase와 pectinase,
참고 자료
식품미생물학실험 : 민경찬 : 광문각 출판사 : 2002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 박영현 : 보문각 출판사 : 2005
식품미생물학 : 강성태, 윤재형 : 형설출판사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