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930년대의 현대시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여 정리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1930년대 사회·문화적 배경
3. 1930년대 시의 특징
4. 주요 동인지
5. 순수시
5.1. 순수시
5.2. 김영랑
5.3. 박용철
6. 모더니즘
6.1. 모더니즘
6.2. 김기림
6.3. 정지용
6.4. 김광균
6.5. 이상
7. 생명파
7.1. 생명파
7.2. 서정주
7.3. 유치환
7.4. 오장환
8. 전원파
8.1. 전원파
8.2. 신석정
8.3. 김상용
8.4. 김동명
9. 유이민 문학
9.1. 유이민 문학
9.2. 백석
9.3. 이용악
본문내용
1930년대 시문학사적 특징으로는 우선, 시인들의 시창작 행위와 방법에 대한 자의식의 대두를 들 수 있다. 1920년대까지의 한국 현대 문단은 주로 동인지 문단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1910년대의 『소년』, 『청춘』등을 중심으로 한 최남선, 이광수 2인 문단 시대를 지나, 1920년대는 『백조』, 『금성』, 『영대』, 『개벽』, 『조선문단』 등을 중심으로 한 동인지 문단 시대였던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동인들은 자기 취미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비를 내어 동인지를 발행하였다. 따라서 창작품은 상품적인 성격을 지니지 못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는 창작품이 상품의 하나로서 저널리즘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것은 문학의 사회적인 가치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등의 주요 일간 신문들은 학예면을 두고 매년 신춘현상문예모집(新春懸賞文藝募集)을 실시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모하여 갔다. 곧 종래에는 문학 창작 활동을 비사회적, 비생산적으로 여겼던 것에 반해 점차적으로 사회적, 생산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문학 창작의 자질을 갖춘 전문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문학 창작에 뜻을 둔 신인들이 동인지를 거치지 않고 직접 문단에 등장할 수 있는 문호가 전국적으로 개방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문인들의 창작 행위와 방법에 대한 자각은, 1930년대의 한국의 현대 문학을 일정한 수준에 끌어올린 한 몫을 담당하였다.
참고 자료
김명옥, 『한국 모더니즘 시인 연구』, 한국문화사, 2000.
김병주 외, 『김동명의 시세계와 삶』, 한남대학교출판부, 1994.
김순실, 「김상용 시의 전통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김진희, 『생명파 시의 모더니티』, 새미, 2003.
김혜니, 『한국근대시문학사연』, 국학자료원, 2002.
박철희 編, 「서정주」, 김학동 『서정주의 시에 미친 보들레르의 영향』, 서강대학교출판부, 1995.
신용협 외, 『한국 현대시 대표작품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안영순, 「김동명시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89.
윤영천, 「일제 강점기 한국 유이민 시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이승훈, 『한국 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0.
이영섭 외, 『新 문예사조론』, 우리문학사, 1994.
이은봉, 『한국현대시의 현실인식』, 국학자료원,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