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교원)와 학생의 인간관계, 교사(교원)와 학생의 권력관계, 교사(교원)와 학생의 동기유발, 교사(교원)와 학생의 사회 및 문화, 교사(교원)와 학생 관련 시사점 분석(교사, 교원, 학생, 교사와 학생)
- 최초 등록일
- 2010.10.20
- 최종 저작일
- 2010.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교사(교원)와 학생의 인간관계, 교사(교원)와 학생의 권력관계, 교사(교원)와 학생의 동기유발, 교사(교원)와 학생의 사회 및 문화, 교사(교원)와 학생 관련 시사점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교사(교원)와 학생의 인간관계
Ⅲ. 교사(교원)와 학생의 권력관계
Ⅳ. 교사(교원)와 학생의 동기유발
1. 활성적 기능(activating function)
2. 지향적 기능(directive function)
3. 조절적 기능(adjusting function)
4. 강화적 기능(reinforcing function)
Ⅴ. 교사(교원)와 학생의 사회 및 문화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즘 교실을 들여다보면 개인의 이기적 태도와 경쟁의식에 물들어 있는 학생들의 모습은 머리만 비대해진 기형의 모습이 될 뿐이다. 교과서가 유일한 텍스트이며 거기에서 제공되어지는 정답만을 암기해 버리면 수업은 만족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교사는 일방적으로 진리를 주입시키고 학생들은 어떤 비판이나 비평 없이 단순히 수용해 버리기만 하면 수업은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교실 환경에서는 학생들의 고등 사고력을 발달시키는 질문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창의적인 탐구 학습이나 토론, 대화 수업과 같은 의사소통을 중요시하는 수업은 찾아 볼 수 없다.
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수업 내용들이 추상적인 면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학교와 가정, 그리고 사회들 간의 연계성이 없기 때문이다. 오늘날 교육은 학교나 교실에서만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 일반화된 경향이다. 이것은 학교 교육이 우리들의 일상적인 삶과 동떨어진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앎의 영역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삶의 맥락에 관해서는 무관심한 경향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정, 사회 그리고 종교 등이 교육은 학교에서만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교육에 대해서 학교와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학교교육은 학교와 교실, 그리고 가정, 사회가 서로 소통을 이루는 가운데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활동들이 철저히 차단되고 있는 실정이다. 엄격한 권위와 통제 속에서 학생들은 무력감을 느끼며, 이 무력감은 저항감으로 이어진다. 학생들은 엄벌위주의 학생지도에 더 이상의 기대를 하고 있지 않다.
참고 자료
김태호, 학생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학지사, 2004
박종숙, 학급담임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생들의 욕구수준의 관계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배은주, 학생 통제와 교육,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임정아, 교원다면평가제도 시행에 따른 교사·학생·학부모 인식 비교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정현승, 교사의 교육권과 학생의 권리간의 상충과 조화, 청원군 :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4
하승수 외 1인, 교사의 권리 학생의 인권, 사계절,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