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受身(수동)표현을 만드는 방법
[2] 수동 표현의 활용 방법
[3] 수동 표현 동사는 사전형, ない형, て형 등으로 현태가 바뀐다.
[4] られる의 형태는 존경어에서도 나타난다. 하지만 문맥으로 미루어 보아 수동표현인지 존경표현인지 알 수 있으므로 앞 뒤 상황을 보며 해석해야한다.
예를 들면
[5] 수동 표현의 문장 예
본문내용
(3) (N1)が/は 수동표현 - (N1)가 어찌어찌 되다.
이 표현은 [누가]했는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에 주체를 생략하고 쓰는 표현이다.
예를 들면
日本で昔の韓国の剣が発見されました。(일본에서 한국의 옛날 검이 발견되었습니다.)
韓国の化粧品は世界中へ輸出されています。(한국의 화장품은 전세계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宝家の公演がソウルで披露された。(다카라즈카 공연이 서울에서 공연되었다)
(4) (N1)は (N2)によって수동표현 - 창조와 발견에 대해 서술할 때 사용.
이 표현은 주체를 강조하여 누구누구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표현을 할때 사용한다.
예를 들면
この薬は韓国の藥劑師によって溌明されました。(이 약은 한국인 약사에 의해 발병되었습니다.)
(5) 원료から/ 재료で 수동표현 - 무엇으로부터 만들어졌는지 설명할 때 쓰는 표현이다.
예를 들면
ビールは麦から作られます。(맥주는 보리로 만들어집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