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과 이론적 배경,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용체계와 교과서제작,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방법과 수업모형,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분석과 내실화 방안
- 최초 등록일
- 2010.10.05
- 최종 저작일
- 2010.10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소개글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과 이론적 배경,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용체계와 교과서제작,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방법과 수업모형,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분석과 내실화 방안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
Ⅲ.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Ⅳ.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용체계
Ⅴ.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교과서제작
1. 과학 교과서 개발 방향
2. 과학 교과서 구성 체재
1) 편찬 체제
2) 단원 구성
3) 사진, 삽화
3.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삽화
Ⅵ.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방법
Ⅶ.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모형
1. 발견 수업 모형
2. 가설 검증 수업 모형
3. 순환 학습 모형
4. STS 학습 모형
Ⅷ.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업분석
1. 교수․학습 과정안
2. 수업 관찰 결과 기록
3. 형성 평가 결과
4. 동료 교사들의 견해
5. 학생의 의견
6. 교사 자신의 의견
Ⅸ. 향후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실화 방안
1.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따라 가르쳐야 하는가
2. 과정보다는 결과에 치중하는 경향은 없는가
3. 교사 자신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되었는지 혹은 어떠한지
4. 야외학습이나 실험학습 등 다양한 학습 방법의 동원을 기피하고 있지 않은가
5. 효율적인 과학과 교육과정을 위해 재량 시간을 활용을 방안은 없는가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Ⅹ. 결론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개별적인 능력에 따라 자기 주도적인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수준별 교육 과정으로 구성한다. 과학과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며 초등학교 6학년부터 적용토록 하고 있다. 모든 학생이 기본과정을 먼저 이수하고 그 성취도에 따라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으로 구분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일괄적으로 보충 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지 않고 과학을 지도하는 교사가 판단하여 적정한 보충 과정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심화․보충과정이나 학습은 전적으로 학생의 특성이나 능력을 가장 잘 알고있는 지도교사의 재량사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교사들은 매 단원마다 심화․보충자료를 만들어 수업에 이용할 만큼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적정 수준에서의 일괄적인 교수학습 자료 제작은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 자료
- 김기융·김현재·차재선·한안진, 초등과학교육론, 서울 동화문화사
- 김인호(1997), 과학과 열린교육의 개별화 및 수준별 교수-학습, 과학 경남, 제20호
- 김현재(1995), 열린교실에서 초등과학의 효과적인 학습지도전략,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 교원대 과학과 개정 연구 위원회(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 허명(1991), STS의 이론과 적용, 새교육
- 한안진·강호감·권치순·김효남·우종옥(1997), 새초등과학교수법,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