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혁명에 수반된 도시주거문제는 20세기 들어 더욱 심화
- 주거의 양적 증대와 주거환경의 질적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
->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개념과 계획안들이 제시
호워드 : 전원도시 구성에 관한 개념도 (1898)
- 대도시와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지역에 전원과 도시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는 자족적인 도시 건설 제안
-> 전원도시 운동 전개, 이차대전 이후에는 정부 주도의 신도시 계획과 쉽게 연계
언윈(전원도시운동의 실천가)과 파커
- 영국 햄프스테드 전원지구 계획안 (1909)
- 영국의 단순한 조례주택 배열방식에서 탈피한 변화 있는 주거환경
-> 유럽 각 국의 주거환경 계획에 큰 영향
독일 에센의 마가레텐 주거단지 (1912)
- 2천가구 이상 수용, 시장광장과 학교 포함
- 언윈 등의 계획은 토지이용 효율 저하로 도시지역에서는 적용 어려움
- 일자형 일반화 이전까지 넓은 중정을 둘러싸는 블록형의 집합주택 성행(특히 독일과 네덜란드)
- 개방적 중정형 주거단지의 지속적 발전
- 외부환경의 공간적 여유와 내부환경의 충분한 채광과 통풍
JJP Oud : 중정형 블록개념
-슈팡엔 지역 주거단지(1920년대 초반)
- 중정 가운데에 정원, 공공시설(학교)을 배치하여 복합적으로 이용
브링크만 : 슈팡엔 지역 주거단지(1921)
- 건물배치의 변화를 통해 외부공간 구성의 위계성 추구
- 단지 중앙 커뮤니티(공동욕실, 세탁장)
-> 1960년대 이후의 저층고밀 집합주택의 중요한 선례
슈퍼블록
- 전통적, 인간적 스케일을 벗어난 대규모 중정
- 오스트리아 빈 등에서 사회주의 정부 보조 노동자 주택의 대규모 건설
K. Ehn : 빈 ‘칼 마르크스 호프’ (1920년대) 단지 배치도
- 길이 1Km 대규모 블록
- 1300세대, 단지 내에 운동장, 탁아소, 세탁장, 병원, 도서관, 상점
- 노동자를 위한 이상적 공동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