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기물 쓰레기 퇴비화 기술에 대해 조사.목차
1. 서론1-1. 유기성폐기물의 문제점 인식
1-2. 자원순환형사회와 Zero emission
2. 유기물 쓰레기 퇴비화 기술의 개요
2-1. 퇴비화의 정의
2-2. 퇴비와의 분류
2-3. 퇴비화의 목적
2-3-1. 불안정한 유기물의 분해
2-3-2. C/N비의 개선
2-3-3. 유해생물이나 잡초 종자의 사멸
2-3-4. 원료의 오물감 해소
2-3-5. 가스 피해 방지
2-4. 퇴비화 과정
3. 기술개발 동향
3-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기
3-1-1. 탈수방식
3-1-2. 건조방식
3-1-3. 발효소멸방식
3-1-4. 재활용
3-2. 퇴비와 기술의 연구개발 동향
3-2-2. 호기성 퇴비화
3-2-3. 건조 퇴비화
3-2-4. 고속 발효 퇴비화
3-2-5. 소멸화 퇴비화
4. 퇴비화의 문제점
4-1. 수요문제
4-2. 수요의 계절적 편제
4-3. 퇴비 품질과 제품 수율의 문제
4-4. 기술적 문제
5. 퇴비화의 문제점에 개선방안
6. 결론
7.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17) 최근에 퇴비화시설 및 혐기성소화에서는 가수가 이루어져 염분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에기여하고 있으나, 가수에 의하여 폐수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다. 폐수처리방안에 대한 대책이 수립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수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나, 폐수를 위탁처리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비용부담이 되는 것으로부터 가수량에 대하여 신중하게 검토해야 될 것이다.18) 여액 중에 TS함량은 5%이상을 64%를 차지하여 고형물의 상당부분이 폐수로 되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탈수효율 및 여액중의 수분함량은 혐기성소화일시에는 그다지 문제되지 않으나, 퇴비화 및 사료화에서는 중요한 요소이다. 가능한 탈수효율을 높이면서 여액중의 TS함량이 적은 방향으로 검토해 가야 할것이다.
19) 별도로 분리집수하는 곳은 3개소였으며, 생활오수외에 하나로 집수하는 곳이 21개소, 생활오수까지 집수하는 곳이 24개소, 하수병합처리를 하면서 그대로 모두를 하수처리장으로보내는 곳이 11개소였다. 기본적으로 고농도폐수와 저농도가 희석될 경우에 농도는 낮아질 수 있으나, 폐수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저농도와 고농도를 분리하여 별도처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20) 폐수처리는 현재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로서 조사되어진 자료를 기반으로 경제성을 비교한 결과 1차처리후에 하수연계 혹은 위탁처리하는 경우에 부담이 가장적을 수도 있다. 또한 폐수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관건은 각종 기초시설과 연계에 있으며, 연계되는 시설에서 부하가 낮으면 충분히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자원하화시설로서 2차오염을 제로화한다는 개념하에서 원위치에서 처리하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21) 폐수처리 단가가 아주 높은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에 유입시에 유입단가를 BOD, COD기준으로 산출한 것이며, 중간가격은 해양투기 가격이며, 아주 낮은 가격은 하수처리장에서 거의 무상에 가깝게 처리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하더라도, BOD 및 COD기준으로 처리단가를 계산하여 청구하는 경우도 있고, 일반 하수처리단가를 징수하는 곳도 있다.
참고 자료
1). “2008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2009)2). “2005 음식물쓰레기 감량 및 자원화업무 추진계획보고서”, 환경부(2006)
3). “유기물자원화 제12권 제4호”, 유기성자원학회(2004)
4).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처리시설 제작업체 현황”, 환경부(2002)
5). “음식물쓰레기관리와자원화기술”, 최훈근외2인, 유기성자원화학회(2002)
6).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02)
7). “유기성폐기물(음식물쓰레기 및 슬러지)의 호기성퇴비화기술의 현황과
전망”,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배재근(2002)
8). “폐기물자원화실무”, 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 동화기술(2001)
9). “2000년도 재활용산업육성자금 융자운영요강”, 환경부(2001)
10). “각국의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기준”, 국립환경연구원(2000)
11). “퇴비화의 이론 및 응용” 한국유기성자원학회, 동화기술(1999)
12). “음식물쓰레기 감량·자원화 기본계획 1998~2002”, 환경부(1998)
13). “남은 음식물의 사료화 이용기술”,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1999)
14).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사업의 경제성 평가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1999)
15). http://www.me.go.kr
16). http://www.konetic.or.kr
17). http://www.fert-kfia.or.kr
18). http://www.vegetables.pe.kr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폐기물 자원화 20페이지
- 파동방정식의 수학적 해석 3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