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학 특성화를 위한 개념, 필요성, 유형 및 전략, 그 구현방안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교육학 하시는 분들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총 24장)목차
Ⅰ. 서론1. 대학특성화 배경 및 필요성
2. 대학특성화의 개념
Ⅱ. 대학특성화 관련 정책분석
1. 대학특성화 정책의 시대별 특징
2. 대학특성화 정책의 평가
Ⅲ. 대학특성화 유형 및 사례
1. 대학특성화 유형
2. 대학특성화 사례 분석
Ⅳ. 대학특성화 추진의 바람직한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식창출과 인적자원 양성 기능을 수행하는 대학의 경쟁력이 미래의 국가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 실리콘벨리의 스탠포드대학이나 샌디에고 바이오클러스터의 USCD, 스웨덴 시스타의 스웨덴왕립공대, 핀란드 울루의 울루대학 등 이미 많은 선진 국가들은 지식의 산실인 대학의 특성화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으며(송기동, 2010), 최근 우리나라도 참여정부 이후 ‘특성화 중점 추진기’를 맞아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건설적인 대안 마련과 정부의 재정적 지원 유치에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요즘 대학특성화의 추세는 대학의 경쟁구도를 유도하는 정부의 정책방향 위주로 흐르는 경향이 강해 경쟁력이 없는 대학들은 점차 도태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대학특성화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일까. 이를 위해 먼저 대학특성화의 추진배경과 필요성, 특성화 개념을 알아보고,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서의 그동안 추진되어 온 대학 특성화관련 주요 정책 및 문제점을 간략히 진단 해보며, 특성화 유형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성화 구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1. 대학특성화 배경 및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은 고교 졸업자의 83.8%(2008년)가 대학에 들어갈 만큼 대중화를 넘어 보편화 단계에 놓여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보편화는 국민들의 높은 교육열로 인한 고등교육에 대한 초과 수요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고등교육 확대 정책에 힘입은 결과이고, 아울러 여기에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라는 외재적 요인이 더해져서 그 정도가 심화되고 있다. 고등교육의 보편화로 이제 대학을 가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대학에 갈 수 있는 시대가 되었으나, 대학교육의 질 저하, 학생 미충원으로 인한 경영곤란 대학 출현, 대학생의 기초학력 저하, 인력수급 불일치 등 새로운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참고 자료
교육인적자원부(2005). 특성화를 위한 대학혁신방안.교육인적자원부(2006). 대학특성화 정책 설명회 자료.
교육인적자원부(2006). 대학특성화의 추진방향과 정책과제.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년도 대학특성화 평가편람.
류지성․박용규․배성오․이갑수․조희재(2006). 대학혁신과 경쟁력. 삼성경제연구소.
민철구 외(2003). 대학의 Academic Capitalism 추세와 발전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백성준(2010). 대학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특성화 방안 : 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특성화 방안에 대한 토론.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변도영․박상문(2005). 대학특성화의 개념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삼성경제연구소(2005). 대학혁신을 위한 제언. CEO Information 508호.
송기동(2010). 대학 구조조정의 추진방향 및 과제. 대학교육.
이석열(2010). 대학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특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영(2010). 대학 구조조정 필요성과 방안. 대학교육.
이종재 외 (1989). 한국 고등교육체제의 기능 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이종찬(2010). 대학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특성화 방안 : 전문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과 특성화사업 연계 운영 방안.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현청(2006). 전환기 대학교육 개혁론. 서울 : 문음사.
이현청 외(1999). 21세기 대학평가의 접근과 활용방안. 대학교육.
유현숙 외(2006). 고등교육 개혁을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6-15. 한국교육개발원
조우현(2006). 대학을 바꿔야 나라가 산다. 서울 : 랜덤하우스중앙.
채재은(2010). 대학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특성화 방안 : 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특성화 방안에 대한 토론.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상덕 외(2007). 대학특성화지표의 시범적용 및 향후 적용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대학특성화 모형에 대한 분석 28페이지
- 학교 교무행정사/교직원/서무과 자기소개서 합격예문 + 이력서양식 5페이지
- 중앙대학교 글로벌 발전 방안 28페이지
- 교육전문직 논술 연습 문제 29페이지
- [대학교교직원자기소개서] 아주대학교 일반행정직 교직원자기소개서 합격예문-대학교교직원자소서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