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경제는 1960년부터 2000년까지 연간 4%대의 높은 성장을 해왔다. 1945년 세계 2차 대전 패배 이후 미국의 원조와 공업/무역의 발달 등으로 세계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경제성장의 바탕에는 경제적 요인뿐 아니라 문화적 요인 (근면 ․ 협동적인 국민성, 기술개발, 노사 간 협조, 정부의 지원) 또는 지리적 요인 역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해보고자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를 전공에서 배웠던 경제성장이론(Solow Model)을 큰 틀로 하여, 통계청이나 책에서 얻은 다양한 data를 중심으로 일본이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문화․ 지리적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해보려고 한다.
경제성장을 나타내는 Solow Model은 쉽게 Y = AKa(hL)1-a 라는 식으로 설명해 낼 수 있다.
Y = 총생산(총산출), total output 을 의미하고, A = 생산성, productivity 로서 기술(t, Technology)과 E(효율성, Efficiency)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K = 물적자본(Physical Capital)의 양, L = 노동자(Labor)의 수, 그리고 h = 인적자본(Human Capital)을 의미한다.
이 보고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Solow Model을 반드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들 요인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각 항목에서 개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Ⅱ 본론 - 경제성장의 요인 분석
ⅰ Factor accumulation
① Physical Capital : Saving Rates
참고자료
· [책] 구성열, <인구경제론>, 박영사 (1996)
· Ronald G. Ehrenberg, Robert S. Smith, <Modern Labor Economics>, Pearson Education Inc (2009)
· David N. Weil, <Economic Growth>, Addison - Wesley, (2005)
· 정형, <사진 ․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다락원, (2009)
· 히라다마사히코 저, 양억관 역, <이시다바이간에게 배운다(기업윤리란 무엇인가)>, 멜론, (2009)
· [신문기사] 일본인‘관상동맥질환’사망률 낮은 비밀은?
· [사이트] ‘통계청’ http://www.kosis.kr/
· ‘세계각국의 소비형태’ http://www.edua.net/high/detail3.htm
· ※ 자료의 출처는 모두 자료 하단에 명기하였음
· ※ 출처가 없는 자료는 모두 통계청_국제자료에서 얻은 것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