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대해 정리하고, 박제가의 북학의 읽고 이것이 경제사적으로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고찰한다.
- 최초 등록일
- 2010.09.09
- 최종 저작일
- 2010.09
- 5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대해 정리하고, 박제가의『북학의』 읽고 이것이 경제사적으로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고찰한다.
배경(책의 선정)
지금은 부산대학교 행정학과에 재학 중이지만 작년까지는 전남대학교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했었다. 조선 후기 역사에 대해 배우면서 실학에 관해서도 비중 있게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농학파(농업개혁론)의 토지개혁론에 대해서 자세히 배웠다. 하지만 중상학파가 주장한 내용에 대해서는 짧게 언급하고 넘어갔었다. 대부분의 역사 교과서를 보더라도 중농학파 위주로 실학사상의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중농학파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학자들도 훨씬 더 잘 알려져 있고) 어쩔 수 없다고 생각이 들지만, 중상학파(상공업 진흥론)가 주장한 내용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고 싶은 욕구가 있었다.
상공업 진흥을 주장한 실학자 중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박제가였다. 박제가에 대해서는 『북학의』를 저술했고 청나라 문물을 적극 도입하자고 주장한 북학파라고만 알고 있을 뿐 그가 어떠한 배경에서 왜 그러한 주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알지 못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이 당시 성리학의 명분이 지배하고 있던 상황에서 보면 말이 안 될 정도로 획기적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홍대용, 이덕무, 박지원 등의 다른 실학자 보다는 박제가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래서 『북학의』를 선택하게 되었다.
목차
제 1절 : 서론
주제
배경(책의 선정)
목적
개괄
제 2절 : 실학사상
Ⅰ. 실학사상 -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면서 실학이 등장하다 -
Ⅱ. 농업개혁론 - 실학자들, 토지 문제를 고민하다 -
Ⅲ. 상공업 진흥론 - 상공업을 진흥시키자 -
제 3절 : 북학의
Ⅰ. 박제가는 누구인가?
내편
외편
진북학의
본문내용
주제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대해 정리하고, 박제가의『북학의』 읽고 이것이 경제사적으로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고찰한다.
배경(책의 선정)
지금은 부산대학교 행정학과에 재학 중이지만 작년까지는 전남대학교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했었다. 조선 후기 역사에 대해 배우면서 실학에 관해서도 비중 있게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농학파(농업개혁론)의 토지개혁론에 대해서 자세히 배웠다. 하지만 중상학파가 주장한 내용에 대해서는 짧게 언급하고 넘어갔었다. 대부분의 역사 교과서를 보더라도 중농학파 위주로 실학사상의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중농학파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학자들도 훨씬 더 잘 알려져 있고) 어쩔 수 없다고 생각이 들지만, 중상학파(상공업 진흥론)가 주장한 내용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고 싶은 욕구가 있었다.
상공업 진흥을 주장한 실학자 중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박제가였다. 박제가에 대해서는 『북학의』를 저술했고 청나라 문물을 적극 도입하자고 주장한 북학파라고만 알고 있을 뿐 그가 어떠한 배경에서 왜 그러한 주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알지 못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이 당시 성리학의 명분이 지배하고 있던 상황에서 보면 말이 안 될 정도로 획기적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홍대용, 이덕무, 박지원 등의 다른 실학자 보다는 박제가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래서 『북학의』를 선택하게 되었다.
목적
첫째, 북학의에 나타난 경제학적인 의미에 대한 고찰이다. 경제라고 해서 상업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농업과 상업을 통해서 일반 백성들의 생활의 질(복지, 후생)을 높이고자 했던 측면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
둘째, 다른 실학자의 사상에 대해서도 이해해보고자 한다. 『북학의』를 중심으로 ‘청나라 문물의 도입’에 중심을 둘 것이지만, 다른 실학자들의 사상을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잘 기억이 나지 않아 이번 기회를 통해 공부해 보고 싶은 욕구가 들었다. 따라서 실학사상의 등장 배경과 전체적인 흐름, 주요 내용에 대해 정리할 생각이다. 단순히 책 한권만 읽고 그에 대한 감상문을 제출하는 데에만 의의를 둘 것이 아니라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 역사에서 경제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실학사상에 대해 공부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